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인암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경주김씨
- 문의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단지주혈
- 밀양박씨
- 효자문
- 화양구곡
- 곡산연씨
- 부여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선돌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효자각
- 부도
- 화양동 암각자
- 충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불정면 목도리 목도공소(佛頂面 牧渡里 牧渡公所) 본문
불정면 목도리 목도리 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천주교 목도공소입니다.
깨끗하고 산뜻하게 잘 관리되고 있습니다.
목도리는 불정면의 동부에 위치한 농촌마을이다. 뒤에는 산이 높고 앞에는 들이 넓으며 괴강과 음성천이 둘러 있어서 조선시대 때 말을 먹였으므로 목나루라고 한데서 목도라는 명칭이 생겼다. 자연마을로는 개실, 강당말, 물갯말 등이 있다. 강당말은 산 밑에 강당이 있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물갯말은 목도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괴강 가가 되어 붙은 이름이다. 목도리 [Mokdo-ri, 牧渡里]
공소는 본당보다 작은 천주교의 단위교회. 주임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지역신자들의 모임이다.
신부가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미사가 집전되지 못하며, 공소 교우들의 본당신부를 대리하는 공소회장(公所會長)을 중심으로 성찬의 전례가 빠진 미사형식의 공소예절(公所禮節)이 행하여진다.
공소교우들은 공소를 유지하기 위하여 헌금을 내는데 공소전(公所錢)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교무금제도로 대체되었다. 본당신부의 공소방문은 1년에 두 번 봄·가을에 있는데, 신부방문 때 집행되는 성사가 주로 판공성사(判功聖事)이었기 때문에 각각 ‘봄판공’·‘가을판공’이라고 불렀다.
공소소재 마을의 지대별 입지조건을 보면 전체 공소의 48.2%가 산간지대에, 35.5%가 평야지대에 있고, 9.0%가 도서·임해 지대에, 7.3%가 도시근교에 자리잡고 있다. 이들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82.2%가 순농촌지역, 12.3%가 반농촌지역으로 나타나 전체의 94.5%가 농촌지역에 위치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공소는 1799년(정조 23) 이전에 설립되었다.
이승훈(李承薰)이 평택현감 재직 때 설립된 평택본당의 대추리공소가 그것이다. 현재 공소전례의 실태를 살펴보면, 주일전례를 빠짐없이 실천하는 공소공동체는 전체의 반 정도이며, 신자들의 공소전례 참여실태는 매우 저조한 편이다.
절반 이상의 신자들이 성서를 지참하는 공소는 전체 공소의 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고, 거의 3분의 1의 공소에서는 공소전례 때 성가를 부르지 않고 있다.
우리 나라 천주교회의 첫 모습은 공소였으며, 한국천주교회 200년의 반 이상이 공소시대였으므로 천주교회의 모태가 바로 공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공소신자수·공소전례·공소사목활동·공소재정 등의 여러 측면에서 볼 때, 현재의 공소는 옛날만큼 중요한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다.
공소 [公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충북의 바람소리 > 괴산군(槐山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산읍 동부리 괴산도서관 보호수(槐山邑 東部里 槐山圖書館 保護樹) (0) | 2017.05.16 |
---|---|
계담마을 표지석및 이장안병일공적비(桂潭마을 標識石및 里長안병일功績碑) (0) | 2017.04.26 |
괴산읍 제월리 홍명희문학비(槐山邑 霽月里 洪命喜文學碑) (0) | 2017.02.09 |
감물면 오성리 진강사(甘勿面 五城里 晉姜祠) (0) | 2017.02.07 |
불정면 지장리 지장리민불(佛頂面 芝莊里 芝莊里 民佛) (0) | 2017.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