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곡산연씨
- 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효자각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효자문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보성오씨
- 단지주혈
- 오블완
- 선돌
- 밀양박씨
- 사인암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공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충북의 문화재
- 각연사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2021/09/22 (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1IpQW/btrfw4utVZu/Ig1bkikgcExm1JEwcGmo6K/img.jpg)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있는 김영일의 기념비입니다. 자세한 내력은 모르겠으나 동네를 위하여 물심양면으로 힘쓴 김영일의 은공을 잊지않기위하여 부락민 일동으로 1973년도에 비석을 세웠습니다.비석의 전면에는 한글로 "장하고 아름답다 그이름 천추에 길이길이 빛나리 김영일기념비"라고 적혀 있습니다,비석의 건립시기는 1973년 8월입니다, 추측컨데 마을의 여러가지 일에 있어 물심양면으로 힘쓴 김영일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비석입니다. 한글로 새긴 비석으로 희소성이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hKAI/btrftnajACW/Q2ix2Va8qUVywgXpG3ILg0/img.jpg)
소이면 충도리 아랫볕돈에 있는 송덕비입니다. 비석은 마을 초입에 둘어가는 부분에 세워져 있습니다.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을 겪으면서 당시 마을에 마을회관이 없어 힘들어 하던 시절 당신의 토지를 희사하여 마을회관을 짓도록 힘쓴 유현종의 공을 기리기위하여 세웠습니다. 비석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현종님은 상품이 온순하시고 인보와 상조의 정신이 투철하시며 새마을 회관 건립에 있어 자신의 많은 사재를 희사하여음으로 그 후의를 오래보존키 위하여 이 비를 부락민의 이름으로 새깁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1978년 5월에 새겼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유현종송덕비동민일동(劉鉉鍾頌德碑洞民一同)라고 새겨 있으며 비석의 후면에는 유현종의 송덕내용이 적혀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WlO4/btreY3XsKiC/yUKZTVU0cgI1C9R4wS15Pk/img.jpg)
군수황후종림영세불망비 (郡守 黃候鍾林 永世不忘碑)이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황종림은 자는 천오(千五)이며 창원인입니다. 생몰년은 미상이며 순조16년(1816)에 병자년 식년시 생원시에 급제하였습니다. 홍주목사(1857) 가산군수(1858)등을 역임하였습니다. 군북면 증약리에 불망비가 1기 자리하고 있습니다. 승정원일기 2415책 (탈초본 119책) 헌종 9년 6월 25일 정유 30/55 기사 1843년 道光(淸/宣宗) 23년....洪在兢爲監役, 黃鍾林爲沃川郡守, 成載琬爲唐津縣監,....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El4Q/btrfheDJctV/ZAYzZ16mcoKOJBjgfjfC9k/img.jpg)
옥천군 안내면 답양리 486-3번지에 있는 밀양박씨의 세거비와 재실의 모습입니다. 답양리는 조선후기 『여지도서』 기록에 따르면 가산리佳山里에 속하였고, 1830년대 『옥천 읍지』에서는 옥천 관문에서 북쪽으로 35리 떨어져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묘장적』에도 가산리 지역으로 기록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가산리는 답양리沓陽里와 용촌리龍村里 2개 리로 분리되어 답양리라 고쳐 지금에 이른다. 1636년 병자호란 당시 밀양박씨가 양지골에, 경주김씨가 논골에 각각 피난을 와서 정 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답동(논골)의 답沓자와 양지골의 양陽자를 취하여 답양리라 하였다. 행정리는 답양리 단일이며, 자연마을은 화골, 논골, 위텃골, 양지골 등의 4개 마을이 있다. 농산물은 주로 밭농사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p4DI/btre6D3JinX/2Un9xx7kzxthFk6UbfqRVk/img.jpg)
조병문 영세불망비,군수 조후병문 영세불망비 (郡守 趙候秉文 永世不忘碑)라고 각자 되어 있습니다.생몰년은 미상이며 조선후기 지방관을 역임하였습니다.충주및 능주목사를 지냈으며 남원부사도 역임하였으며 맹산현감도 지냈습니다. 1860년 옥천군수로 재임히였습니다. 승정원일기 2631책 (탈초본 125책) 철종 11년 8월 7일 무진 16/28 기사 1860년 咸豊(淸/文宗) 10년...沈遠之爲東部令, 趙秉文爲沃川郡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xPy3/btre5a8PR8d/18hBEns37w6MdlMk4rALG0/img.jpg)
군수이후돈상영세불망비 (郡守 李候敦相 永世不忘碑)이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승정원 일기에 의하면 이돈상은 옥천군수를 지낸 후 전주판관으로 자리를 옮깁니다. 이돈상의 자는 공후(公厚)이며 1815년(순조15)에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용인입니다. 관직은 공조판서에 이르렀으며 아버지는 현령을 지낸 이원응이며 어머니는 군수를 지낸 풍양인 조운성의 딸입니다. 승정원일기 2639책 (탈초본 126책) 철종 12년 4월 13일 신미 19/34 기사 1861년 咸豊(淸/文宗) 11년......金瑛默爲禮曹佐郞, 李敦相爲沃川郡守, 金奭鉉爲扶餘縣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