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단지주혈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법주사
- 사인암
- 보성오씨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각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선돌
- 각연사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공주박물관
- 상당산성
- 곡산연씨
- 효자문
- 충북의 문화재
- 문경새재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공산성 선정비
- 사과과수원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부여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09/26 (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GX5aX/btrfPWi9Qrd/MxRwBm2QM8yi61oSisVhV1/img.jpg)
고당리는 지리적으로 동쪽은 양저리, 서쪽은 금강을 경계로 동이면 조령리와 나뉘며, 남쪽은 동이면 우산리, 북쪽은 합금리와 양저리 북부 산지와 이웃한다 청성면 고당리 원당마을 초입에 있는 구장을 지낸 강릉인 유주열의 기념비입니다. 비석의 건립시기가 1958년 4월이라고 되어 있는데 비석등의 상태로 보아 기존에 있던 비석의 파손등에 의하여 새로운 비석으로 교체한 듯 싶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전구장강릉유씨주열기념비(前區長江陵劉氏周烈記念碑)라고 적혀있으며 고당리 동민일동 이름으로 건립하였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qJ32Z/btrfXzsuLQi/qAX6axIsNdnKXulkOvVeIK/img.jpg)
청성면 고당리 원당마을 입구에 서있는 강릉인 유영창의 공로비입니다. 유영창은 이 곳 고당리의 이장으로 수년간 마을주민들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바쳐 열심으로 봉사하였습니다. 동민들은 유영창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고당리주민일동의 이름으로 1982년 2월에 세웠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이장유영창공로비(里長劉永昌功勞碑)라고 새겨져 있습니다.원당마을은 강릉유씨의 집성촌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Kzvc/btrfPWDtkLL/AnjZ96bWOk5hnV7iD6oM6K/img.jpg)
청성면 고당리 원당 마을입구에 있는 김연순여사의 효열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경주김씨연순여사효열비(慶州金氏淵順女史孝烈碑)라고 적혀있으며 좌우,후면에는 김연순여사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비석은 강릉유씨옥천종중에서 2009년 3월에 건립하였습니다. 경주김씨 연순여사는 강릉유씨 옥천군 종친회 고당리 월구지 문중의 종부로서 효부요 열부요 장한 어머니 이시다. 옥천군 옥천읍 서대리 경주김씨 병종공의 따님으로 다복하게 자라나 어린 나이에 옥천군 청성면 고당리 강릉유씨 순종공의 아내로 시집오시어 가난한 살림에 노시부모 봉양과 어린 시동생 3남매의 뒷바라지는 너무나 힘에 겨웠고 양식이 없어 굶는 때가 많았다. 이런 역경속에서 4남 2녀를 두었으니 아들에 영진,영복,영건,영준이요 딸에 성윤과 근임이라.자식들이 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qUbh/btrfQn1QKov/LtorhApFNiou6Dz8Y9nwoK/img.jpg)
청성면 고당리 원당에 있는 강릉유씨 옥천종중 초대회장을 지낸 유갑종의 공로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초대종중회장유갑종공로비(初代宗中會長劉甲種功勞碑)라고 적혀있습니다. 유갑종은 강릉유씨 옥천종중 초대회장으로 고당리 원당의 강릉유씨재실인 숭모재(崇慕齋)를 짓는데도 많은 역할을 하였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4cAr/btrfREoLXf7/2X4lhcDArWstdJVLtKLCck/img.jpg)
고당리는 고현高峴의 높을 고高자와 원당元堂의 집 당堂자를 한 자씩 따서 고당리高堂里라 하였다. 고현은 높을 고高와 고개 현峴자로 고현마을이 높은 고개 아래에 자리 잡아 고현이 되었다. 벼루, 벼랑은 높으며 절벽진 곳을 지칭하는 옛말로 높은벼루(벼랑)라 부른다. 원당(元堂, 월꾸지, 월꼬지)은 고당리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월꼬지라 하며, ‘월곳月串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W8jd/btrfTF8QWah/HpfgOdpOrPfelk5k7fhjF1/img.jpg)
청성면 석성리 유문거리에 있는 상산인 전응관의 시혜비와 송덕비 선덕비등 입니다. 석성리는 상산전씨들의 집성촌입니다.조선말과 일제강점기시절 석성리에 거주하던 전응관의 각종 비석입니다. 전응관과 관련된 4기의 비석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비각안에 세워진 비석들의 글자가 인위적으로 훼손된 부분도 있습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갑진(甲辰)3월(1904년)과 경신(庚申)정월(1920년)입니다. 비석을 살펴보면 경신년 같은경우에는 경신년홍수등으로 인하여 소작인들에게 도세를 감면하는 등 선덕을 베풀었으며 갑진년등과 다른 비석을 보면 주위의 어려운 동민들을 위하여 세금을 대납해 주는 등 많은 선덕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