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국립청주박물관
- 법주사
- 선돌
- 경주김씨
- 부도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청풍문화재단지
- 각연사
- 밀양박씨
- 오블완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단지주혈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사인암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2022/10/02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WGCx/btrNw9u7DCQ/ampRFCFEnKHWKpY0bAPsdK/img.jpg)
진천 덕산면 두촌리 상산재앞에 자리하고 있는 나무입니다. 품종은 느티나무이며 수령은 지정당시(2015년 05월21일) 300년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진천군나무 제 48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진천송씨 대종회에서 관리를 맡고 있습니다. 충절수(忠節樹)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우고 있습니다. 우국충혼을 홀로 기리며 조선 순조 때부터 3백년을 꿋꿋이 지켜온 진천의 이 느티나무는 충절수라 불린다. 나라사랑에 마음을 다하는 것이 충이요, 자신의 한계를 넘어 의리를 지키는 것이 절조라는 의미로 이는 진천군의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여기 진천백 송인장군의 유택 우백호 끝자락에서 진천송씨 시조의 충절을 기리니 고려 이자겸의 난 때 인종 임금을 몸을 바쳐 호위하다가 순절하였다. 단종복위를 꾀하다가 성삼문 등 사육신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OohU/btrNzEBnoUa/Drk9rbQcyuODKzEZqJhLW0/img.jpg)
이대건과 이시발의 신도비가 자리하고 있는 쌍오비각이 자리한 용정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소(龍沼)의 ‘용(龍)’자와 쌍오정(双悟亭)의 ‘정(亭)’자를 따서 용정리(龍亭里)라 하였다. 조선 말기 진천군 초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양촌리·지전리·부창리·생석리·연촌리를 병합하여 용정리라 하고 초평면에 편입하였다. ] 동남쪽으로 두타산(頭陀山)[598m]이 솟아 있고, 초평천(草坪川)이 마을 중앙에서 남서쪽으로 흘러 초평저수지로 흘러든다. 기후가 온난하고 수량이 풍부하다. 진천군청에서 동쪽으로 약 8㎞ 떨어져 있다. 자연마을로 생곡·부창·양촌·지전 등이 있으며, 국도 34호선이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증평군과 이어지고, 지방도 516호선이 동북 방향으로 뻗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9gag/btrNv9WWtNG/86KzTmWvs3eyJmvzNHNRMK/img.jpg)
진천향교는 교성리 향교마을 야산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향교에서 바라다 보이는 진천시내의 모습입니다. 진천향교가 위치하고 있는 교성리는 조선 말기 진천군 남변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교동(校洞)·탑동(塔洞)·학당리(学堂里)를 병합하여 교성리(校成里)라 하고 군중면에 편입하였다. 1917년 군중면을 진천면으로 개칭하였고, 1973년 진천면이 진천읍으로 승격함에 따라 진천읍 교성리가 되었다. 진천향교 입구에 있는 비석군입니다. 진천향교와 관련된 공덕비와 진천향교 전교의 존성비입니다. 향교직원으로 향교의 보존과 더불어 항교유지에 힘쓴 향교직원 김해인 김만희의 공덕비입니다. 농림부장관을 지낸 정운갑의 공적비입니다. 진천향교 전교를 지낸 한성수의 존성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