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청풍문화재단지
- 선돌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부도
- 법주사
- 국립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한독의약박물관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효자각
- 효자문
- 경주김씨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2022/12 (4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TDqW/btrTRF3aJ9Y/9lz7jPkUD1E0Y8vuk94l31/img.jpg)
내수읍 비상리 비상교회 뒷쪽길 마을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정절부순천박씨의 기적비입니다. 1977년 비상리에 세웠습니다. 비문은 연규복이 짓고 글씨는 임화형이 썼다. 비석의 전면에는 정절부순천박씨기적비(貞節婦順川朴氏紀蹟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순천박씨는 이름은 종순으로 박수규의 장녀이다.9세에 초계인 변명규에게 시집을 와서 시부모를 부모처럼 극진히 모시고 남편을 부도로서 내조하였다. 시부모가 돌아가신 후 남편 또한 젊은 나이에 세상을 뜨니 부인 나이 18세였다. 실심하여 연일울며 지내다가 이래서는 안되겠다 하는 마음에 마음을 돌이켜 깨닫고 유복자 변종능을 낳아 낮으로는 밭을 일구고 밤으로는 길쌈을 하며 고생으로 양육하였다. 그리고 나이 40이 되기전에 손주를 보게되어 초년에 어려움에 대한 보상을 받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z8v7/btrTRZUNDql/U4L5ZUEk6R2v5KYdskA3k0/img.jpg)
1997년(정축년)에 절효부 전주이씨(1887~1973)의 효열을 기리기 위하여 비상리에 세운 효열비각입니다. 정면1간 측면1간의 겹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이다. 사면을 낮은 벽을 쌓은 뒤 홍살로 막고 안에는 1979년에 세운 절효부전주이씨비가 있다.비문은 1971년 최동겸이 짓고 글씨는 조수형이 썼다. 전주이씨(1887~1973)는 이승복의 장녀이다. 나이 10세에 아버지는 풍증으로 어머니는 해수로 고생하자 7년을 하루같이 간호하였다. 그러나 부모께서 연이어 세상을 떠나시니 가산이 탕진되어 남매가 표산하였다.전주이씨는 초계인 변형규에게 시집을 와서 시부모를 극진히 섬기고 남편을 부도로서 내조하였다. 그러나 남편이 병이 들자 부인은 10년을 간호하였다. 그러나 일어나지 못하고 세상을 뜨니 부인은 남편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mc3D/btrTT7dBel7/I4GIWA2D1Hx6u6A7CxVFp0/img.jpg)
내수읍 비상리 홍양사내에 있는 박선이,이춘금의 충노비입니다.성종(成宗)22년(辛亥年,1491년)에 여진족이 5천의 대군으로 조산성(造山城)을 함락하고 경흥땅을 노략질 하자 나사종은 장졸들과 함께 적군을 무찌르는 혁혁한 전공을 세우다 32세의 젊은나이로 순절을 하였다.이 때 관기(官妓) 박선이와 아복(衙僕) 이춘금이 공의 흩어진 사지를 안고 울다 적에게 죽임을 당하였다.이를 보고 경흥부민(慶興府民)들이 그 충절을 기린 내용을 새긴 비이다. 현재 홍양사(鴻陽祠)안에 있으며 안정나씨 가문에서 관리하고 있다. 비석의 전면에는 박선이.이춘금충의비(朴善伊.李春金忠義碑)라고 적혀 있으며 뒷면에는 只知有主 主殉幷殉 不知有身 烈哉兩人 라고 적혀있다.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오로지 주인만을 알고 주인이 죽으니 따라죽었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z97X/btrR3ek9FW1/tbZ1fnI9EoTkxrqXXrIY0K/img.jpg)
청풍문화재단지 비림에 있는 청풍부사를 지낸 여흥인 민영학의 선정비입니다. 승정원일기 2962책 (탈초본 136책) 고종 24년 6월 29일 을묘 53/67 기사 1887년 光緖(淸/德宗) 13년 都政。 吏批, 判書徐衡淳, 參判朴周陽進, 參議未差, 承旨缺。 以李能九爲引儀, 閔泳學爲淸風府使,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fYTd/btrTT6ThK1X/5OPKa4lxqZEzJc955zWgBK/img.jpg)
저곡리 마을회관앞에 자리하고 있는 저곡리 마을유래비입니다. 저곡리(楮谷里)는 면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인구는 150여명이다. 동은 초정리(椒井里), 서는 비중리(飛中里), 남은 비상리(飛上里) 북은 우산리(牛山里)가 접해 있다. 楮谷里(탁골,楮谷)는 본래 청주군 산외일면의 지역으로서 닥이 많이 있으므로 닥골 또는 저 곡(楮谷)이라 하였는데, 1914年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매평리(梅坪里)와 비중리(飛中里) 일 부를 병합(倂合)하여 저곡리라 해서 북일면(현 내수읍)에 편입(編入)됨. 자연마을 골닥골 : 저곡리(楮谷里)에서 으뜸되는 마을. 개화대들 : 꽃이 많이 피는 들. 저곡리 북서쪽에 있는 비중리와 우산 1구 사이에 있는 넓은 들. 마산바위 : 말처럼 생긴 바위. 일명 말코 바위라 하며 베틀의 일부분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z48H/btrTQ0UmII3/z5wevSI2d6kWlH7hZlgZ41/img.jpg)
저곡리楮谷里(탁골,楮谷,골닥골)는 본래 청주군 산외일면의 지역으로서 닥이 많이 있으므로 닥골 또는 저곡(楮谷)이라 하였는데, 1914年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매평리(梅坪里)와 비중리(飛中里) 일부를 병합(倂合)하여 저곡리라 해서 북일면(현 내수읍)에 편입(編入)되였습니다. 청주시 내수읍 저곡리에 1990년에 세운 북암 이병수(北庵 李炳洙)의 사적비(事蹟碑)로서 비문은 성균관장 김경수(金敬洙)가 짓고 글씨는 평양(平壤) 조병호(趙柄鎬)가 썼다. 비석의 전면에는 북암전주이공사적비(北庵全州李公事蹟碑)라고 각인되어 있으며 옆에는 효자 이주업의 기적비가 자리하고 있다. 저곡리는 전주이씨의 집성촌입니다. 이병수(李炳洙 1883~1959)는 전주인으로서 자는 기화(奇化)요 호는 북암(北庵)이다. 선고(先考) 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