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자각
- 각연사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사과과수원
- 효자문
- 경주김씨
- 충주박물관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화양구곡
- 곡산연씨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청풍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부도
- 국립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전국방방곡곡/여기저기 (14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동학사는 724년(성덕왕 23)상원(上願)이 암자를 지었던 곳에 회의(懷義)가 절을 창건하여 청량사(淸凉寺)라 하였고, 920년(태조 3)도선(道詵)이 중창한 뒤 태조의 원당(願堂)이 되었다. 936년신라가 망하자 대승관(大丞官) 유거달(柳車達)이 이 절에 와서 신라의 시조와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초혼제(招魂祭)를 지내기 위해 동학사(東鶴祠)를 지었다. 그리고 사찰을 확장한 뒤 절 이름도 동학사(東鶴寺)로 바꾸었다. 이 절의 동쪽에 학 모양의 바위가 있으므로 동학사(東鶴寺)라 하였다는 설과, 고려의 충신이자 동방이학(東方理學)의 조종(祖宗)인 정몽주(鄭夢周)를 이 절에 제향하였으므로 동학사(東學寺)라 하였다는 설이 함께 전해진다. 1394년(태조 3)고려의 유신(遺臣) 길재(吉再)가 동학사의 승려 운선..
한탄강 지질공원에 있는 비둘기낭입니다.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 비둘기낭 마을에 있는 폭포입니다. 폭포 뒤의 동굴에서 백비둘기들이 집을 짓고 살았는데, 비둘기 둥지와 같이 움푹 파인 낭떠러지라는 의미에서 이런 이름이 유래하였다. 비둘기낭 폭포는 포천 한탄강 주상 절리 협곡과 동일하게 한탄강 용암 대지가 불무산에서 발원한 불무천에 의해 개석되면서 형성된 폭포이다. 비둘기낭 폭포는 포천 한탄강 주상 절리 협곡과 같이 주변의 크고 작은 하식동과 주상 절리, 판상 절리, 협곡, 용암 대지 등 철원-연천 지역의 지형 및 지질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비둘기낭 폭포는 용암 분출에 따른 침식 기준면의 변동과 수계 발달 간의 상호 작용과 용암 대지 내의 폭포 발달 과정을 알 수..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조각승 각민이 제작한 불상과 복장유물.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중 복장유물은 2010년 8월 동학사 대웅전의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의 개금불사(改金佛事)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조성 발원문, 개금 중수 발원문, 개금불사 원문을 비롯해 후령통(喉鈴筒)과 사경(寫經), 각종 경전류와 갓끈, 거울 등 78건 136점이다. 복장유물 가운데 석가모니불과 아미타불에서 발견된 불상 조성 발원문을 통해 1605년(선조 38) 음력 10월 조성을 시작하여 1606년 음력 3월 완성되었으며 공주 계룡산 청림사(靑林寺) 대웅전에 봉안되었던 불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중수 개금 발원문을 통해 1883년(고종 20) 동학사 대웅전에서 삼세..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또는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 탑은 고대 인도 산스크리트어인 스투파(Stupa)를 한자로 음역하면서 솔도파(率堵波), 솔탑파(率塔婆)로 부르다가 탑파, 또는 탑이라는 줄임말로 부르게 되었다. 스투파의 원래 뜻은 부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는 묘에서 비롯되었다. 처음에는 사원의 중심에 탑 하나를 세워 불사리를 봉안하였으나 나중에는 탑을 두 개 세우기도 하고, 사원의 중심에서 벗어난 한적한 곳에 세우기도 하였다. 세월이 흐르면서 탑에 불사리만 봉안하는 것이 아니라 불상, 불경 등을 함께 봉안하기도 하였다. 동학사 삼층석탑은 원래 전각골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겨 세운 것이라 한다. 상세한 연혁은 알려지지 않았다.동학사 중심 건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