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효자각
- 청풍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사인암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보성오씨
- 부도
- 효자문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충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선돌
- 법주사
- 경주김씨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목록전설따라 삼천리 (11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장안면 불목리는 원래 불목골(불모골, 火目) 이라 불리웠으며 정감록 비결파들의 지은 이름으로, 마로면 시루산에 떡시루를 걸어놓고 방화실에서 불을 붙여 불이 잘타는가를 불목리에서 들여다 보는 형국이라 하여 불목(火目)골이라 불러오다 행정구역 개편시 불목(佛目)이라고 개칭되었습니다. 오래된 연자방아맷돌을 이용하여 마을표지석을 세웠습니다. 앞에는 한글로 뒷면은 한자로 큼지막하게 써놓았습니다.

칠성면은 괴산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군소재지로부터 8km 지점에 있으며, 남으로는 해발 948m의 군자산과 비학산의 경치가 아름다워 소금강이라 일컫는 쌍곡계곡이 있으며, 동은 연풍면, 서는 괴산읍과 문광면, 남은 청천면, 북은 감물면과 장연면을 접경하고 있다. 경제작물이 많은 중간산 마을로 고추, 인삼,절임배추, 송이버섯 채취 등으로 소득을 얻고 있다.산막이 옛길이 전국적인 명소로 알려지며 더욱 이름을 내고 있습니다.

삼용리는 세 가닥의 산의 내용(來龍)이 어울린 곳에 마을이 있다고 하여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음성군 근서면 삼생동 일부와 맹동면의 단월동·하삼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삼용리라 하여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새터 뒤에는 마을에서 기우제를 지내는 국수봉이 있고 물언덕 뒤에는 왕자봉이 있으며 은행나무골에서 맹동면 통동리로 넘어가는 곳에는 도마치(일명 말등구리재)가 있다. 단월에서 용당이로 넘어가는 곳에는 예전에 용이 승천하였다는 전설이 있는 용당이고개가 있다. 삼용리의 짐실천과 덕정1리에서 삼용리로 이르는 삼용천·덕정천 등이 초평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물언덕 앞에는 삼성들이 있다. 삼용저수지는 은행나무골에 있는데 1980년에 준공되었으며 물은 도수..

원남면 조촌2리 마을회관옆에 있는 마을구판장 옆에 서있습니다. 화강암위에 오석으로 마을의 유래와 함께 조촌리 출신 효부와 열녀 그리고 충신들의 이름을 적어 놓았습니다

야동은 보천리 동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동쪽으로 보천리 큰말, 서쪽으로는 설매, 동막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 마을에 풀무와 대장간이 있어 야장(冶匠)을 하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자은갈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야동·동막곡·곡내·덕현·설매·하리·기리·양촌·삼기동을 병합하여 조촌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조촌리에는 야동(풀무골)·동막골·골안·덕고개·설매·세고개(삼치)·아랫말·양달말·황새말·흐리실(기리) 등의 마을이 있다. 마을 남쪽으로 종지봉이라는 산이 있고 서북쪽으로 두루봉이 있다. 그리고 야동에서 삼용리 용담으로 넘어가는 자작고개가 있다. 마을 앞으로 주봉리에서 발원하여 마송리를 거쳐 흐르는 마송천이 흘러 조촌리를 지나..

본래 충주군 감물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廢合)에 따라 미전2리(彌田二里) 일부 괴산군 동하면(東下面)의 매양리(梅陽里)와 연풍군(延豊郡) 장풍면(長豊面) 안민도전리(安民道田里)를 병합(倂合)하여 매양(梅陽)과 미전(彌田)의 이름을 따서 매전리(梅田里)라 해서 괴산군 감물면(甘勿面)에 편입(編入)되었다. 행정리는 원매전(元梅田), 도전(道田), 안민동(安民洞), 증자동(曾者洞)으로 분리되어 있다. (가) 원매전(元梅田) 상매전(上梅田)(윗맹이) : 매전리(梅田里)의 윗부분에 새로이 마을이 들어서서 불리웠다. 하매전(下梅田)(아랫맹이) : 원매전리중 아랫마을이다. (나) 도전(道田)(도저니) 웃도전리(上道田里) : 도전리의 윗말을 가르키며 도전리의 전 호수가 이곳에 살고 구감물초등학교 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