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법주사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화양구곡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상당산성
- 부도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경주김씨
- 각연사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선돌
- 효자문
- 곡산연씨
- 부여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오블완
- 문경새재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Today
- Total
목록전설따라 삼천리 (11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하백양리는 감물면에 백양리에 속해 있으며 백양리는 배안골 또는 뱅골이라고 불리운다 백양리는 박달리와 상백양리 하백양리로 구성 되어 있다. 하백양리 마을회관 얖에는 주민들의 쉼터가 되어주는 보호수가 정자와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2리에 속한 공산정의 마을자랑비입니다 영산2리 마을자랑비라 하여 마을입구 삼거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영산2리는 남이장군의 출생지로 전해지고 있으며 생가터는 지금 밭으로 변하였습니다. 영산2리에는 남이장군에 대한 전설이 내려오고 있습니다. 백족산 기슭에는 큰 절이 있고 절 뒷산 꼭대기에는 신선바위라는 바위가 있다. 백족산을 휘감아 도는 청미천이 흐르고 그 건너 동쪽에는 원통산 지맥에 자리한 남이 장군의 출생지라는 영산리 잔작골이 있다. 백족산 기슭에 있는 백여 명의 승려가 수도하던 큰 절에는 매년 부처님오신날에 승천을 희망하는 스님이 목욕재계를 하고 가사를 정성스레 입은 후 신선바위에 올라가 합장하고 일념으로 염불하면 오색찬란한 구름이 산중에 가득하여 지척을 분별하기 어려운 황홀..

원충리(元忠里)의 ‘충(忠)’자와 도남리(道南里)의 ‘도(道)’자를 따서 충도리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 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남리, 양전리, 삼고리, 원충리 각 일부와 군내면 석인리 일부를 병합하여 충도리라 하고 음성군 소이면에 편입되었다.충도2리 아랫벳돈의 서북쪽에는 만적산이 있으며 충도리에는 송고개, 길선고개, 덕고개, 충도리고개 등 많은 고개가 있다. 또한 방죽밑·덕산이·앞들·가락구미 등의 들이 있으며 충도리에서 발원하는 상양천, 덕고개천, 하양천 등이 충도천에 유입되고 있다. 충도천은 충도리의 국사산[380m]에서 발원하여 도남, 웃벳돈, 아래벳돈, 가락구미 앞을 지나 완천(浣川)으로 유입되고 있다. 1943년부터 1946년..
우리 마을은 동편의 어래산(御來山)과 서편의 속리산 양산 자락이 맞닿은 위치에 자리잡은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고려 공민왕으로부터 남달리 총애를 받고 있던 배극렴은 왕의 시역사건이 일어나자 정사에 뜻을 잃고 부인과 충주 고을로 낙향하여 은거했다. 당시 왕명을 받고 요동정..
음성읍 평곡1리 약물재 마을입구에 있는 마을표지석입니다. 마을에 약샘이 있어 약물재라 이름 붙였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약현리·기곡리·토계리·평촌리의 일부와 남면의 하노리 일부를 병합하여 평촌리의 ‘평’자와 기곡리의 ‘곡’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