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의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밀양박씨
- 경주김씨
- 화양동 암각자
- 단지주혈
- 상당산성
- 부도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효자문
- 사인암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선돌
- 국립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효자각
- 공산성 선정비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전설따라 삼천리 (11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esTO/btq0Q9RpA4c/iRj7ndrFDcBHW7brczb6aK/img.jpg)
예전에는 마을표지석이 서있는 이곳이 마을로 통하는 지름길이었나 보다.자립 자주 협동이라는 구호가 참 이채롭습니다.음성읍에 위치한 평곡석재에서 마을표지석을 기증한 모양입니다. 마을 표지석 전면에는 "자주.자립,협동하는 초천4리부락"이라고 적혀있습니다. 마을로 통하던 구길은 이제 추억만 남았고 커다란 새로운 표지석이 마을안내도와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다. 풋내는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이다. 풋내는 초천4리의 남쪽 지역에 위치하는 자연 마을로 양달말과 음달말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으로는 능골과 샛골이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삼생리의 자연 마을인 무직이가 있고, 북쪽으로는 구맹지와 접하고 있다. 마을의 냇가에 풀이 많아서 풋내라 이름붙였는데, 예전부터 이 내[川]는 아무리 가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dgLA/btqXMffgk4U/SGLiEu6XyukjfK42mkOVL1/img.jpg)
연정리는 면의 남동단에 있는 마을로 동은 남이면 상발리, 서는 궁현리, 남은 남이면 구미리, 북은 청주시 동막동에 접해있다.연정리는 본래 청주군 서강내 이상면의 지역으로써 개울물이 여러곳에서 와서 이 곳에서 합쳤다고 하여 오계리라 하였는데 조선조 명종 때 효자 幕溪公 趙鋼이 이곳에 터를 잡고 정자나무를 심고 마을 복판에 못을 파고, 마을 이름을 연정이라 하였다. 그후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西江內 二下面 이교리 일부를 편입하여 연정이라 해서 江內面에 편입되었고, 큰말과 흔뜸을 1리로 하고 윗뜸과 재너머를 리구로 분구하였다. 자연마을로는 큰말-연정리의 중심이 되는 마을. 윗말-연정리 동쪽에 있는 마을. 혼뜸-큰말에서 서남쪽에 있는 마을.집너머-큰말에 오른쪽에 있는 마을이다. 솔고개(松峴)윗말에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kMFw/btqXGcRbFBA/ektuPd5fJCD9aloJkpaxgk/img.jpg)
구미리는 대부분 낮은 구릉지와 평지이다. 구미들이 있다. 자연마을로는 구미리(구밋들, 구미평, 구미), 건너말, 외딴말 등이 있다. 구미리는 지형이 굽이졌으며, 거북 꼬리처럼 되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건너말은 구밋들 건너편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외딴말은 전에 외딴집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노계마을 표지석입니다. 다인철소(多仁鐵所)와 익안현(翼安縣)의 유래(由來)를 적은 마을 표지석입니다. 노계(老溪)마을의 유래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여 놓았습니다. 고려시대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 철 및 관련 수공업품을 생산하였던 특수행정구역. 다인철소가 언제 어떠한 경위로 설치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고려사(高麗史)』·『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등의 기록에 몽고군을 격퇴한 공으로 다인철소가 현으로 승격되었음을 전하고 있다. 다인철소는 규모와 생산량, 철 가공 기술과 품질 면에서 고려를 대표하는 철소였고, 이는 규모면에서 국내 최대의 것으로 알려진 대소원면 일대 야철 유적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대몽항쟁기에 있었던 다인철소민의 항전에 대해서는 기록의 미비로 상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