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오블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밀양박씨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법주사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단지주혈
- 충북의 문화재
- 부도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문경새재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청풍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 (83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수룡3리는 수룡리의 행정리동의 하나로 보련산 동쪽으로 수룡2리 사이에 자리한 마을이다. 자연마을로는 천룡과 대상이 있으며 논농사를 주로 하고 있다. 천룡9천룡)이라고 각자된 마을자랑비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여 있다. 우리마을은 옛날에 용이 승천한 곳이라 하여 천룡이라 부르..
연하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저전리와 우성리의 일부를 병합하고 연화동과 하남의 첫글자를 따서 연하리라 하였다. 연하3리(하남마을)는 보련산 골짜기에서 발원한 부곡천 주변에 형성된 하남마을과 가마골 마을이 있다. 금광이 한참 운영 될때는 100여호 이상 살았으나 폐광이 되면..
노은은 약 400여년전에 청안현감을 지낸 정경연이리는 분이 낙향하여 여생을 초야에 묻혀 편안히 지내려고 통행로를 막고 혼자 살기에 세인들이 말하기를 "저 고개는 한노인이 은거하는 고개다"라고 하므로 은연중에 노은현이라 칭하게 되였고 나중에 면의 이름이 되였다고 한다. 수룡리..
동네이름도 숭선마을이다. 숭선마을 마을회관앞에 짝을 잃고 혼자 덩그러니 서있다. 예전에는 가까이 있는 가축우리 한켠에서 외로움을 깁고 있었지만 지금은 보호울타리도 두르고 다시 새단장을 하였다. 가까운 숭선사지는 지금도 발굴이 한창이다. 당간지주가 위치한 문숭리(文崇里)..
안내판이 잘되여 있으니 찾기는 쉽다.이곳 가신3리는 몇번이고 걸음을 한곳이다.명성황후유허지를 알리는 유허지비가 있었는데 이번에는 동네초입에 명성황후노래비가 생겼다, 유허지비 앞에 널려있는 빨간고추가 세월의 무상함을 이야기 해주는 듯 하다.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3리에 있는 조선 말기 명성황후 피난지이다. 1882년(고종 19) 6월 9일 임오군란(壬午軍亂)이 일어나자 신변의 위협을 느낀 명성황후는 서울을 탈출하여 고향인 여주의 민위영 집에 숨었다가, 장호원에 있는 민응식의 향제를 거쳐 충주목사 민응식의 집을 찾아가던 중 자취를 감추기 위해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국망산 밑 신흥동 이시영의 집으로 피신하였다.이시영은 이시일(李時鎰)[1818~1900]의 잘못된 기록으로 보이며, 어머니를 모시고 초가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