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오블완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문의문화재단지
- 부도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충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단지주혈
- 효자문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구곡
- 보성오씨
- 국립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법주사
- 사인암
- 화양동 암각자
- 선돌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5xIs/btstzt0iufV/O5sdkc4YOZdPXEF4o8suH0/img.jpg)
청천면 송면리 선유구곡에 있는 이기주李基柱의 이름각자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Yqvb/btst5QHJ4ac/m8sG58ETMvqUmfKiYURXik/img.jpg)
괴산향교 입구에 있는 하마비 입니다. 하마비를 세우려면 이왕 하는거 밑에 비대석도 하나 만들고 해서 보기 좋게 세웠으면 좋으련만 비오는 날 포장용 아스콘에 덮혀서 자리를 지키고 있는 하마비의 모습이 조금 그렇습니다. 비석의 형태로 보아 하마비의 윗부분이 파손이 된듯 보입니다. 하마비의 위치가 예전에는 계단위에 있었는데 자리를 옮겨 이건한 듯 합니다. 하마비는 조선시대 종묘 및 궐문 앞에 세워놓은 석비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말을 타고 이 곳을 지나는 사람은 누구든지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글이 적혀 있다. 각 궁궐의 정문 밖, 종묘 입구에 세웠으며, 성균관을 비롯한 각 지방의 문묘 밖 홍살문에 하마비를 세웠다. 매우 드물지만 순천 송광사와 같이 사찰 일주문 밖에 하마비를 세운 경우도 있다. 왕이나 장군·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NuIy/btstw2WSSe9/Z5nJKXwaDbAwykODylrZqK/img.jpg)
선유구곡에 위치한 난가대 암석에 각자되어 있는 최정락崔鼎洛의 이름암각자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vfNz/btstw0x1bmF/9dpwX8qz2ayYKlmv1hTUz1/img.jpg)
선유구곡 은선암에 각자되어 있는 이명재李明載의 이름각자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eLVB/btstyi5KpKA/njv9F6kKC8i8X5s9mKWn1k/img.jpg)
청천면 선유구곡의 제 9곡인 ‘은선암(隱仙巖)’ 각자(刻字) 옆에 ‘김시찬 이보상 정술조 동주이상간 임신구월일(金時粲 李普祥 鄭述祚 洞主李尙侃 壬申九月日)’이라고 새겨져 있는데, 임신년이면 1752년에 새긴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글로 인해 선유구곡 각각의 명칭을 이보상이 쓴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글로 인하여 김시찬(金時粲1700~1767) 이보상(李普祥1698~1775) 이상간(李尙侃1715~1765) 정술조(鄭述祚1711~1788)등이 선유구곡을 정했다고 보고있다.. 김시찬(1700~1767)은 1751년 12월 충청도관찰사로 임명되었고, 이보상(1698~1775)은 괴산군수를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