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사과과수원
- 효자문
- 경주김씨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밀양박씨
- 사인암
- 한독의약박물관
- 공주박물관
- 곡산연씨
- 법주사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상당산성
- 청풍문화재단지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부도
- 선돌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각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t73M/btstCVIUdfT/ohgG3cq9kWWb8GdrGY3hK1/img.jpg)
선유구곡에 있는 은선암에 각자되어 있는 관찰사를 지낸 조명정의 각자입니다. 은선암 옆면에 관찰사조명정 觀察使趙明鼎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승정원일기 1103책 (탈초본 61책) 영조 30년 2월 25일 을사 15/28 기사 1754년 乾隆(淸/高宗) 19년 ... 以趙明鼎爲忠淸道監司, 以韓光會爲兵曹參議, 以金尙遇爲長城府使, ....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조명정은 1754년에 충청도감사로 제수되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조명정(趙明鼎)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조명정(趙明鼎)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4zPZ/btstvPjrOWD/zw8dZUYvYm8kmTArHqgvY1/img.jpg)
청천면 선유구곡 주차장 옆 공터에 후손들에 의하여 세워진 상주인 선곡처사 박건중의 숭례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증통훈대부사헌부지평선곡처사박건중선생숭례비贈通訓大夫司憲府持平仙谷處士朴建中先生崇禮碑라고 각자 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박건중의 내력이 각자되어 있습니다. 선유구곡 와룡폭포옆에 박건중의 이름각자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청천면 선유구곡 박건중각자(靑川面 仙遊九曲 朴建中刻字) (tistory.com) 청천면 선유구곡 박건중각자(靑川面 仙遊九曲 朴建中刻字) 박건중(1766년(영조 42) ~ 1841년)은 조선후기 『비요촬약조해』, 『초종례요람』 등을 저술한 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사표(士標), 호는 선곡(仙谷). 인조 때 승지 이환(而煥)의 후손이다. 송 king6113.tistory.com 박건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lG4m/btstw0EPb86/ARrqWT0NE84LDUbKHARw81/img.jpg)
박건중(1766년(영조 42) ~ 1841년)은 조선후기 『비요촬약조해』, 『초종례요람』 등을 저술한 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사표(士標), 호는 선곡(仙谷). 인조 때 승지 이환(而煥)의 후손이다. 송환기(宋煥箕)와 김정묵(金正默) 등에게 사사받았다. 특히, 예학에 대하여 연구한 바가 깊었다. 그는 경전의 주소(註疏)와 문헌에서 예절에 관한 부분을 수록하고, 또한 제가(諸家)들의 예설 등을 인용하여 1800년 김장생(金長生)의 『상례비요(喪禮備要)』를 증보한 『상례비요보(喪禮備要補)』 8책을 저술하였다. 그 밖의 저서로는 『비요촬약조해(備要撮略條解)』 2책과 한글로 된 『초종례요람(初終禮要覽)』 1책이 있다. [朴建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유구곡 주차장옆 공터에 자리하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gDJnV/btstwjYRc6b/Xdqrpqaxrn0nHhvKLSjIR1/img.jpg)
청천군 송면 선유구곡 와룡폭포 근처 암벽에 각자되어 있는 충청도 관찰사 송세헌의 이름각자입니다. 충청도 관찰사 시절 이곳 선유구곡을 찾았다가 이름을 각자하였습니다. 관찰사송세헌觀察使 宋世憲이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필체가 아주 힘있고 멋집니다. 이끼등이 덮혀있지만 잘 볼수있습니다. 송세헌은 조선 후기에, 강화부유수, 충청도관찰사, 규장각직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입니다. 본관은 은진(恩津). 송흠서(宋欽書)의 증손이며, 송종수(宋宗洙)의 손자이다. 송병문(宋秉文)의 아들이었으나 송병일(宋秉一)에게 입양하였다. 1874년 5월 별시문과(別試文科)에 합격하였다. 1884년에 성균관대사성이 되었는데, 1886년에는 이조참의가 되었다. 1889년에 시강원겸보덕(侍講院兼輔德), 같은 해에 이조참판, 시강원보덕을 역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hAIY/btssHhmTdyC/fKiKzXKYPr3parUf0DkIZ1/img.jpg)
화양구곡의 제9곡인 파곶에는 많은 암각자들이 있습니다. 특히나 송시열의 서재로 쓰였던 암서재와 함께 제5곡인 첨성대와 접하고 있는 계곡물가 그리고 파곶에는 이 곳을 다녀간 많은 사람들의 이름이 암벽에 각자되어 있습니다. 시간을 가지고 그들의 이름과 함께 암각자를 찾는 재미도 좋습니다.제1곡인 경천벽서 부터 제9곡인 파곶까지의 명명된 각자를 찾는것도 좋습니다. 파곶가의 암석에 옅게 새겨진 각자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