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각연사
- 부도
- 문경새재
- 공산성 선정비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법주사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효자각
- 오블완
- 상당산성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단지주혈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곡산연씨
- 선돌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vmDu/btssLIYtRFk/sPkpePmfSUrGw6kyvzlEkk/img.jpg)
화양구곡의 제5곡인 첨성대 아래 냇가에 암벽에 새겨진 암각자입니다. 주위로는 비례부동 과 만절필동 등 송시열의 대명존숭을 나타내는 여러 암각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당시의 청나라를 인정하지 못하고 명나라에 대한 모화사상이 화양동 계곡안에 가득합니다. 대명천지大明天地, 조선의 땅은 위대한 명나라 것이고 숭정일월崇禎日月, 조선의 해와 달 역시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의 것이로다. 송시열의 사대적인 숭명(崇明), 존숭(尊崇) 사상이 고스란히 새겨진 글씨입니다.此八字陪臣宋時烈嘗書與人者也 正宣於此山中謹模以勒(차팔자배신송시열상서여인자야 정선어차산중근모이륵) 현실에서의 시선으로는 참 이해가 되지않는 각자이지만 그 시대의 사회상과 함께 당쟁으로 얼룩졌던 조선의 아픔을 보는 듯 합니다. 부끄러움은 부끄러움으로 끝나는 것..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OxwO/btssNuMbndf/YwkOhvBHdF4QCnwXG5Ktak/img.jpg)
괴산군 청천면 화양계곡 첨성대 아래의 냇가의 암벽에 새겨진 명나라의종의 어필로 송시열에 의하여 각자되었습니다.비례부동 (非禮不動)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의 어필로, '예가 아니면 행동하지 않는다' 라는 의미 이다.비례부동의 오른쪽에 숭정황제어필崇禎皇帝御筆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화양동은 송시열의 모든것을 압축해 놓은 곳입니다. 우암이 괴산 화양동에 '비례부동'을 새긴 까닭은 - 충북과 나의 연결고리 충북일보 (inews365.com) 우암이 괴산 화양동에 '비례부동'을 새긴 까닭은 우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은 전라도 정읍에서 숙종의 사약을 받기 직전 수제자 권상하(權尙夏, 1641∼1721)에게 서면으로 유지를 내려 명나라 신종(神宗)과 의종(毅宗, 崇禎帝)의 사당을 짓고 제 www..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4Y8DE/btssSCrch5h/PKMcNOpNEsw5kjN4ZO1ufK/img.jpg)
화양구곡의 5곡인 첨성대 밑의 냇가의 암벽에 각자되어 있는 비례부동非禮不動이란 각자옆에 새겨진 각자로 비례부동非禮不動이란 각자를 새기게 된 이유를 각자한 내용입니다.비례부동非禮不動이란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의 어필로, '예가 아니면 행동하지 않는다' 라는 의미 입니다. 비례부동의 오른쪽에 숭정황제어필崇禎皇帝御筆이라는 글자도 새겨져 있습니다 陪臣閔鼎重奉至 與宋時烈等謹拜手 稽首摸勒時四十七年甲寅四月日也 (배신민정중봉지 여송시열등근배수 괴수모륵시사십칠년갑인사월일야) 배신陪臣이라 함은 신하의 신하. 곧 제후의 신하. 제후의 신하인 대부(大夫)가 천자를 대할 때의 자칭하는 말입니다. 47년은 숭정47년을 말하는 것으로 1627년 숭정1년을 기준하면 1674년, 갑인년 입니다. 비례부동은 송시열이 1674년 4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7Vvw/btssHCqTUaE/9BhPswn138uuHpERy8BOh0/img.jpg)
청천면 화양구곡 제9곡인 파천가에 있는 암벽에 새겨진 송정희宋正熙의 이름각자입니다.옆에는 송명노宋明老의 이름각자도 어깨를 같이 하고 있습니다. 송정희(宋正熙)는 순조2년인 1802년에 태어났다.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호는 풍야(豊埜)이며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조부는 송후연이며 아버지는 이조참판에 추증된 송계락(宋啓樂)이고 생부는 송계근(宋啓根)이다. 1834년 순조34년에 갑오식년 사마시에 진사 3등으로 합격을 하여서 음직(蔭職)으로 공조참판에 이르고 파주목사(坡州牧使)를 지냈다. 또한 보은군수(報恩郡守)로 임명되어 재직할 때는, 충청우도암행어사(忠淸右道暗行御史)의 보고로 포시승서(褒施陞敍)되기도 하였다.1881년(고종 18) 신사(辛巳) 2월 22일, 향년 8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묘는 옥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7G2WN/btssDI6odOR/8lhllOWiyf4m7OMOleLZj1/img.jpg)
이정관이 그의 아우들인 정안과 정완 그리고 이의원과 함께 이곳을 다녀가며 각자하였다. 이정관의 아버지는 통훈대부 청주진병마첨절제사(淸州鎭兵馬僉節制使) 를 지낸 이주헌이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정관(李鼎寬) 인물 정보] (aks.ac.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정관(李鼎寬) 인물 정보] [부(父)] [안항(鴈行)] people.aks.ac.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Wy1V/btssJlPXMBJ/sVR95hi3qhfg6JO2VGNa10/img.jpg)
청천면 화양계곡 운영담.(靑川面 華陽溪谷 雲影潭) (tistory.com) 청천면 화양계곡 운영담.(靑川面 華陽溪谷 雲影潭) 운영담(雲影潭)이라 한다. 참 이름만 들어도 마음이 설렌다. 하늘을 흐르는 구름의 그림자가 비친 못이라 하니 얼마나 멋진가? 소나무와 함께 있는 층암절벽의 모습이 구름과 함께 잔잔한 물에 king6113.tistory.com 청천면에 위치한 화양구곡의 제2곡인 운영담雲影潭입니다. 구름의 그림자가 소에 비춘다는 뜻일겁니다. 암석사이사이에 자라고 있는 소나무들의 생명력이 참 좋습니다. 가을에 단풍이 진 운영담은 그 풍취를 더욱 빛낼것 같습니다. 제 사견으로는 화양구곡중 학소대와 더불어 참 압권인 풍경입니다. 임상주(任相周1710~1791)는 자신이 쓴 만흥영화양구곡漫興詠華陽九曲에서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