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상당산성
- 선돌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밀양박씨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경주김씨
- 화양동 암각자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곡산연씨
- 부여박물관
- 충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문
- 부도
- 단지주혈
- 사인암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화양구곡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riHC/btssNlwu04r/ekf2CYS4GIV5NpLUYnknc1/img.jpg)
절도사 구병훈은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충청수사로 제수되었음을 알수있다. 승정원일기 1149책 (탈초본 64책) 영조 33년 10월 28일 정해 12/13 기사 1757년 乾隆(淸/高宗) 22년 ○ 兵批判書鄭翬良進, 參判趙載洪進, 參議李萬宗進, 參知李昌儒進, 左副承旨安𠍱進。以金光澤爲蝟島僉使, 李命峻爲全羅右水使, 金聖遇爲全羅兵使, 沈應昌爲訓鍊主簿, 具秉勳爲忠淸水使, 李喜集爲城津僉使, 절도사 정충달은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충청병사에 제수되었다. 승정원일기 1801책 (탈초본 95책) 정조 22년 12월 1일 경인 16/26 기사 1798년 嘉慶(淸/仁宗) 3년 ○ 兵曹口傳政事, 以鄭忠達爲忠淸兵使。 정충달이 충청병사시절 아들들과 함께 기미9월에 이곳 화양구곡을 찾았다가 각자한것으로 추측됩니다. 정충달을 인터넷 검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IdV3/btssVNxNYUR/ZCXoaXm2QVjdS5RHwvUha0/img.jpg)
김광묵은 1767년(영조 43)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갑과(甲科)로 급제, 충청도 관찰사와 경상도 관찰사․이조 참판을 역임하였다. 관찰사 김광묵이 숭정3정사년(1797년)에 이 곳을 다녀가며 각자하였다. 승정원일기 1595책 (탈초본 85책) 정조 10년 2월 13일 정해 12/39 기사 1786년 乾隆(淸/高宗) 51년 ○ 再政。吏批, 以趙時偉爲禮曹參判, 李鼎揆爲戶曹參議, 柳誼爲刑曹參議, 閔鍾顯爲司譯提調, 金鍾秀爲右副賓客, 兪漢葛爲羅州牧使, 李英敎爲禁府都事, 李永瑗爲氷庫別檢, 柳橚爲禮曹佐郞, 金尙集·李泰永爲承旨, 金光默爲忠淸監司, ... 정조 11년1787년 05월10일(음) 비변사에서 아뢰기를, “새로이 제수된 경상감사 김광묵(金光黙)은 현재 충청 감영의 임소(任所)에 있습니다. 호서에서 영남까지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JJJS/btssVWIgCNS/eC8GYOkmvh0v6QHAPL3MLK/img.jpg)
김려가 충청도관찰사 시절 아들인 낙증과 함께 이곳에 들려 각자한 것입니다.후세에 각자 한것을 없앤다고 바위에 시멘트를 발라놓아 더 보기가 안좋습니다. 후세에 누군가가 시멘트로 발라놓은 위에 다시 각자한 듯 합니다. 화양구곡중 9곡인 파천가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김려(1675-1728)조선 후기에, 사간원정언, 사헌부집의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용여(用汝), 호는 설재(雪齋). 김민효(金敏斅)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재현(金載顯)이고, 아버지는 신령현감(新寧縣監) 김윤호(金胤豪)이며, 어머니는 금성이씨로 돈녕부도정 이핵(李翮)의 딸이다. 1705년(숙종 31) 사마시에 합격하고, 1713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시강원설서·병조좌랑·사헌부지평·사간원정언·사헌부집의 등을 거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7ojQ/btssMDbGyiy/kx16h6yPIG9C8CYlyTOd51/img.jpg)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의 화양구곡 제9곡에 위치한 파천가에 있는 암석에 새겨진 홍열모의 이름 각자입니다.홍열모가 충청도관찰사 시절 이 곳을 다녀가면서 각자한것으로 보여집니다. 홍열모는 1804(순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성립(聖立). 홍감보(洪鑑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선호(洪善浩)이고, 아버지는 생원 홍희명(洪羲命)이며, 어머니는 김이중(金履中)의 딸이다. 1829년(순조 29)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1833년(순조 33) 한권(翰圈)에 선발된 후 이어 시행된 한림소시(翰林召試)에 뽑혔다. 1836년(헌종 2) 도당록(都堂錄) 회권(會圈)에 선발되었고, 이듬해에는 원접사(遠接使)의 문례관(問禮官)으로 임무를 다하였다. 그 뒤 모사도감(摹寫都監)에서 도청(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hvLYV/btssDQ4wL4t/iRKRioZOJsTxKTVum7Pms1/img.jpg)
청천면 화양동 9곡인 파천가에 있는 암석에 새겨진 각자입니다. 승정원 일기에 의하면 1811(순조11년)에 공충도관찰사로 제수되었습니다. 관찰사시절 아들과 함께 밑에 관속들과 화양구곡을 찾은 듯 합니다 각자시기는 숭정4신미년(1811년) 가을입니다. 1763(영조 39)∼1817(순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유량(孺良). 목사 원명구(元命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판서 원경하(元景夏)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원인손(元仁孫)이며, 어머니는 남유상(南有常)의 딸이다. 1790년(정조 14) 사마시에 합격한 뒤 관직에 나아가 활동하다가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를 역임하였다. 1801년(순조 1) 도기(到記)의 제술시에 1등으로 합격하여 전시에 직부되고, 이어 증광문과에 병과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NcD3/btssIqRtYCJ/M1KzJIiN4M4bKBRSvwFRu0/img.jpg)
괴산군 청천면 화양구곡 제9곡인 파천에 있는 당시 순찰사를 지낸 김정균과 그의 아들 계진의 이름 암각자 입니다. 김정균은 1782(정조 6)∼1847(헌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태수(台叟), 호는 서어(鋤漁). 이조판서 김상용(金尙容)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세랑(金世桹)이고, 아버지는 김병익(金炳翼)이며, 어머니는 윤석렬(尹錫烈)의 딸이다. 1813년(순조 13) 진사가 되고, 1820년 정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지평이 되었다. 1822년 경상도암행어사로 나아가 각 지방의 부사·현감 등의 치적을 평가하여 상과 벌을 내리도록 건의하였다. 이듬해 왕세자가 섭행(攝行)하고 태묘에 제향할 때 대축(大祝: 종묘나 문묘에 제향을 올릴 때 축문을 읽는 사람)이 되었으며,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