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부도
- 공산성 선정비
- 밀양박씨
- 사과과수원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문
- 화양구곡
- 각연사
- 선돌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효자각
- 상당산성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문경새재
- 사인암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FmCE/btrduHGzTlW/4hEAZkuMbAoBdtN6HC5Uq1/img.jpg)
청천면 지경리에 있는 박내수의 묘갈입니다.비석의 건립시기는 1900년경 일제강점기시대에 세운 비석인 듯 하다. 증중학교교관박공묘갈명(贈中學校敎官朴公墓碣銘)이라고 시작되는 비가 보호각안에 자리하고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1C9Zp/btq9jvqAUtJ/6vhBN45KycCXImB6k7HGHk/img.jpg)
충북 괴산군 칠성면 명태재로외사4길 19-1 (외사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의성 김씨 문중의 재실로 사용하던 곳이며 서당 구실도 하여 백운서당이라고도 한다. 조선 정조 2년(1778)에 처음 세웠고 1915년에 다시 고쳤다. 건물은 중앙에 마루를 두고 양쪽에 온돌방을 두었다. 재실 앞에는 옛 모습을 간직한 대문이 있고 주위는 전통 기법으로 담을 쌓았다. 이번에 건물의 노후된곳을 보수하고 기와도 새로 얹었습니다. 충북 문화재 자료 21호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습니다. 봉서재 중수기가 현판으로 걸려 있으며 봉서재(鳳棲齋)라는 현판도 걸려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AaSg/btq869PJJO2/MrPRkk44AFrs2VATZGL8bk/img.jpg)
1951년 정부에서 6·25전쟁으로 파괴된 기존 전력시설의 복구와 더불어 자주적인 전원사업(電源事業)을 위하여 소계곡전원개발계획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대형전원개발은 당시의 긴박한 국가 재정상으로나 공사기간의 장기성으로 보아 불가능할 뿐 아니라, 전시하에서 전력시설의 소개(疏開)를 위한 전원의 분산과 그 지방의 산업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소규모의 수력발전소건설계획을 추진하게 되었다. 1951년소계곡발전소 건설 지점을 현지답사하여 괴산수력에 대한 개발계획을 확정하고, 1952년 11월 공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화폐개혁으로 인한 자금동결, 국회의 예산부결 등으로 공사가 중단상태에 있다가 1953년 7월부터 가설공사와 댐 기초굴착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자금공급의 어려움으로 총공정 28% 상태에서 그 해 12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pM1Q/btq9aGkNAfs/vztuakEPJC06iPjXN9yRJ0/img.jpg)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거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양 기둥에 별다른 조각이 없다. 기둥 사이에는 당간을 꽂았던 둥근 받침돌이 2단으로 마련되어 있는데, 그 윗면 가운데에 높히 솟아오른 부분을 두어 여기에 깃대를 끼웠던 것으로 보인다. 기둥 안쪽면에는 아래위로 홈을 두어 당간을 고정시키도록 하였다.조각솜씨가 세련되거나 정교하지 못하나 간결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고려시대 전기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시간 날때마다 찾는 외사리 이것만 .... 올때마다 느끼는 감흥이 다름은 무슨 이유일까? 논에서 밭으로 바뀌였으니 무엇을 심을까 궁금했는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8DVV/btq1ITfIQ7A/EmNqUbCGLKpY6KZkl2IvvK/img.jpg)
사리면 시동리에 있는 손씨재실입니다. 원래의 위치는 시동리 마을에 있었지만 후손들에 의하여 지금의 자리로 옮겨 새로 지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AAqT/btq1DZ68VHd/y8a1xkaT2XptzkBdO4nGwK/img.jpg)
청천면 지경리 지경삼거리에 위치한 번남인 박근양의 구휼송덕비이다 비의 건립시기는 비의 상태등으로 보아 계미년(1943년)으로 추정된다. 비의 전면에는 거사박공근양구휼송덕비(居士朴公根陽救恤頌德碑)라고 음각되여 있다. 괴산에서 당시 동일양조장을 경영하여 축적된 경제력으로 지역을 위한 여러가지일에 앞장서며 교육사업및 빈곤퇴치를 위한 구휼사업등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박근양이 동네의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구휼하였다는 내용이 비석에 음각되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