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경주김씨
- 각연사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한독의약박물관
- 상당산성
- 효자문
- 문의문화재단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선돌
- 보성오씨
- 부여박물관
- 곡산연씨
- 문경새재
- 효자각
- 법주사
- 사과과수원
- 단지주혈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부도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은행나무 노랗게 물들어 좋은 문광저수지 은행나무길을 걷고 왔습니다 물속에 비친 은행나무의 잔영이 참 좋습니다.

감물면 구월리에 있는 장연노씨세거지비(장연노씨세거지비(長淵盧氏世居地碑)입니다.동네는 장연노씨가 대성인듯 합니다 자연암석에 앞면을 다듬어 대석위에 세워놓았습니다.장연노씨세거지비(장연노씨세거지비(長淵盧氏世居地碑)라고 적혀있습니다.비석은 2012년에 세웠습니다,

이 정문는 효자 조복형(1609-1644)의 정려로 숙종(肅宗) 11년(1685)에 세운 것이다. 조복형은 임천(林川)인으로 한림(翰林) 조응공(趙應恭)의 증손이며 군자감 참봉 조희성(趙希聖)의 아들이다. 부친이 만년에 병이 잦아 원근을 가리지 않고 약을 쓰더니 하루는 깊은 밤에 의원에게 약을 지어 오던 중 공산밑 달천 가에 이르렀을 때 홀연 길 왼쪽에 큰 호랑이 한 마리가 엎드려 타라는 시늉을 하였다. 해칠 뜻이 없음을 알고 호랑이를 타고 집에 당도하니 호랑이가 홀연 사라졌다. 이 사실이 알려져 숙종 11년 정려되었다. 효자문 안에는 효자처서조공복형지문(“孝子處士趙公復馨之門”)이라 쓴 편액과 송달수(宋達洙)가 짓고 송근수(宋近洙)가 쓴 ‘孝子處士趙公汪閭重修記’, 족손(族孫)인 조덕윤(趙德潤)이 쓴 ‘孝..

칠성면 외사리 다리를 건너며 우측으로 자리하고 있는 오산 김준형의 공적비입니다.공적비옆으로는 마을표지석과 함께 외사마을 유래비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봐도 참 정감이 가는 당간지주입니다. 칠성면 외사리 삼성마을에 있는 당간지주입니다.삼성마을에는 옛날에 관리들이 유숙할수 있었던 원(院)이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신라시대에 삼성사라는 절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비도리(斐道里)는 본래 연풍군 장연면 비도동이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연면에 편입 되었다가 1947년 2월 1일자로 면의 거리관계로 편의롤 도모 칠성면에 편입되었고 석기시대 간돌촉이 나왔다. 위모래들 : 비동의 원동이며 사평리 윗마을이다. 비도골(斐道골) : 비곡의 원동이며 비동 건너 마을이다. 발황골(發晃골) : 발황골 비동원동 남쪽 마을이다. 복해(伏蟹) : 복해 속칭 복계 비도곡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탑골(塔골) : 탑골 비도골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피목 : 복계 남쪽 상계내 건너마을이다. 상구(上口) : 상구는 복계와 피목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증골(甑골) : 증골은 비도곡 동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봉산사(鳳山祠)는 괴산군 칠성면 비도리에 창녕성씨 상곡공파 희정공계 봉산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