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사과과수원
- 오블완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각연사
- 효자각
- 선돌
- 화양구곡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사인암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충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상당산성
- 부도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 (309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평곡1구 구장을 맡아 봉사하던 구장 염병화의 그간의 노고를 치하하며 1944년(소화19년)갑신년에 평곡1구 구민들이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약물재 마을 입구에 다른2기의 비석과 함께 자리하고 있다. [정의]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육영 사업가. [활동사항] 약산(藥山) 염병화는 ..
[정의]고려 중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여흥(驪興). 고려시대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 민의(閔懿)의 아들이다. 처는 배씨(裵氏)이며 아들로 민식(閔湜)·민공규(閔公珪)가 있다. 배씨의 동생은 유익겸(柳益謙)의 처가 되었다. [활동사항] 민영모는 인종·의종·명종 때 활동한 인물로 어려서부터 학문을..
금표라 함은 일정지역의 사람의 출입을 금지시키기위하여 세운 비석을 말한다 금표(禁標)는 조선시대 연산군이 사냥 등의 유흥을 위해 한양도성 외곽 경기도 일원에 민간인 통제구역을 설정하고 그 경계에 세운 통행금지 표지이며 이 구역을 금한(禁限)이라고 하고, 동금표(東禁標)·서금표·남금표 등 경계의 요소요소에 금표비(禁標碑)를 세우고 무단통행자를 사형 등의 극형에 처하였다. 연조실록에 따르면 "도성 사방에 100리를 한계로 모두 금표를 세워 그 안에 있는 주현과 군읍을 폐지하고 주민을 철거시킨 다음 사냥터로 삼음으로써 기전(畿甸) 수백 리를 풀밭으로 만들어 금수(禽獸)를 기르는 마당으로 삼았고, 여기에 들어가는 자는 목을 베었다"고 한다. 연조는 이 구역을 관리하기 위하여 금표검찰도사·금표검거인 등의 관직도 ..
대장리 석불입상에 대하여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 대장초등학교 교정에 위치한 석불 입상. [형태] 대장리 석불은 화강암으로 조성된 불상으로 머리는 결실되었으나 광배(光背)를 갖추고 있는 석불입상이다. 대략적으로 보아 오른손은 일체 중생의 여러 공포를 없애고 안심을 얻..
[정의]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사창1리에 있는 여흥민씨(驪興閔氏)의 재실(齋室). [형태] 경모재는 담장을 콘크리트로 둘렀고, 솟을대문 좌우에는 2칸씩 행랑을 달았다. 입구에는 1979년 민영규(閔泳奎)가 쓴 ‘황려문(黃驪門)’이란 편액이 걸려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