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각연사
- 충북의 문화재
- 충주박물관
- 사인암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부도
- 오블완
- 효자문
- 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경주김씨
- 효자각
- 밀양박씨
- 법주사
- 상당산성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화양동 암각자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청풍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383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보은군 수한면 후평리에 위치한 참봉 안종건의 진휼불망비이다인화노인정 입구에 있는 세기의 비석중 비석을 바라보며 오른쪽에 있는 비석이다빈민을 구제한 덕을 기리기 위해 1925년에 모두 4개소에 건립된것중 하나이다비의 건립시기는 대정14년인 1925년이다비석의 크기는 120*45*17이다.갑자년 흉년이 들었을때 빈민을 구제하기위하여 안종건이 베푼 진휼을 기리기 위하여 이듬해 세운듯 하다. 비의 전면에는 찹봉안종건진휼불망비(參奉安鍾健賑恤不忘碑)라고 음각되여 있으며비의 옆면에는 건립시기인 대정14년 6월이라고 적혀있다. 안종건은 1885(고종22)~1951 │ 근·현대의 독지가로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보은읍 금굴리에 살았다. 타고난 품성이 순후하고, 부모님을 봉양함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또한, 손님 접..
판동초등학교 들어가는 입구 왼쪽에 자리하고 있는 김귀봉의 송덕비이다. 판동초등학교부지 2200여평을 기부하고 초대 육성회장을 지낸 공로를 인정하여 1963년에 건립하였다. 전체 비의 크기는 163센티이며 비의 전면에는 김공귀봉송덕비(金公貴鳳頌德碑)라고 음각되여있다. 비석옆에는 ..
서낭당은 한국의 무속신앙에서 신을 모시는 사당이다. 중국의 성황당(城隍堂)에서 유래하였으며, 다른 이름으로는 선왕당(仙王堂)이라고도 한다. 회인면 중앙리 회인초등학교 뒷편에 자리하고있다. 노거수아래 돌탑을 쌓아서 치성드린 흔적이 있다. 주위에 있던 사찰인 망월사가 폐사하..
남이면 석실리 밭가운데에 시멘트기단을 만들어 그 위에 세웠다. 비석에는 음각으로 면장허섬청덕비(面長許暹淸德碑)라고 음각되여 있다. 청주군 남차이면 면장을 지낸 허섬의 청덕비이다. 비의 건립시기는 신해년(1911년)십이월로 음각되여 있다. 면장을 지낸 허섬의 치적을 기리기 위..
언제나 내 마음속에 시집가는 누이의 뒷모습으로 남는 외사리당간지주. 마음 허전할때 언제든 오라며 제자리 지키고 있는 네가 있어 나는 행복하다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에 있는 의성김씨가문의 효행비이다 음성읍의 동음리는 옛부터 의성김씨가 대성을 이루고 살았다 효행비 뒤로는 의성김씨가문의 시제등을 지내는 창은사가 자리하고 있다. 효행비를 바라보며 좌측은 의성인 김예숙의 효행비이며 우측은 의성인 김태섭의 효행비이다. 효행비는 아마 사당인 창은사를 지으며 같이 세운것으로 짐작이 된다 의성김씨는 경순왕의 아들이며 고려 태조의 외손인 김석(金錫)을 시조로 하고, 그의 후손 김용비(金龍庇)·용필(龍弼)·용주(龍珠) 형제대에 이르러 세계가 갈린다. 김용필계에서 대제학학자 김안국(金安國), 참판·학자 김정국(金正國) 형제가 나왔고, 김용비계에서 부제학 김성일(金誠一), 대사헌 김우옹(金宇勒) 등이 배출되었다. 의성김씨(義城金氏)인 근세 인물로는 학자 김홍락(金興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