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주김씨
- 청풍문화재단지
- 오블완
- 곡산연씨
- 단지주혈
- 법주사
- 공주박물관
- 효자각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문경새재
- 사인암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효자문
- 충주박물관
- 부도
- 한독의약박물관
- 선돌
- 상당산성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화양구곡
- Today
- Total
목록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383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노은면 수룡1리에서 신효리쪽으로 길을 가다 오른쪽 너른논을 바라보면 논둑에 커다란 비석이 1기 보인다.이 선정비는 원래 현재 이 곳이 경지정리 되기전서 부터 이 곳에 있었다고 한다.경지정리가 되기전에도 논둑길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한다.선정비등은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곳에 세우는 것이 일상인것으로 보면 이 곳은 사람들의 왕래가 많았던 길인것으로 추정된다.비석이 있는 노은은 그 명칭의 발단은 이러하다.1630년경 영조 때에 청안현감을 지낸 정경연(鄭慶演)[1604~1666]이 산림이 우거진 이 땅에 들어와 외부와의 접촉을 피한 채 노모를 봉양하며 은거하였다. 이에 사람들은 정경연이 살던 곳을 노은고개[老隱峴], 또는 논고개[老峴]라 불렀는데, 이것이 유래가 되어 면의 이름도 노은현면(老隱峴面) 또는 노은면(老..
충주목사를 지낸 이국헌의 마애선정비이다 충주를 지나간 관리들의 많은 선정비를 보았지만 마애비로 선정비를 새긴경우는 드물다 수안보면 수회리에 마당바위에 서유돈불망비가 마애비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와 비해 이국헌의 마애비는 많은분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이국헌(李國憲)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숙(文叔)이다. 부친은 이여연(李汝淵)이다. 1660년(현종 1) 증광시(增廣試)에 생원 3등 45위로 입격하였다. 1676년(숙종 2) 호조정랑(戶曹正郞), 문의현령(文義縣令), 부사과(副司果), 이듬해 금산군수(錦山郡守)를 역임했다. 1683년(숙종 9) 부사직(副司直), 1684년 밀양부사(密陽府使), 상의첨정(尙衣僉正), 무주부사(茂朱府使), 1685년 남양부사(南陽府使), 1687년 훈련주부(訓鍊主簿),..
1994년 12월 30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76호로 지정되었다. 1828년(순조 28) 남주한이라는 고성 사람이 선조의 재실(齋室)로 지은 것이며, 현존하는 재실은 1888년에 중수(重修)된 것이다. 건물의 구조는 목조와가로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5량집인데, 아궁이 부분은 후대에 시멘트로 개수하..
광서16년(고종27년 1890년)병조에서 권영수에게 내린 임명장이다. 교첩이라 함은 조선시대에 5품 이하의 문무관원을 임명할 때 내리던 사령장(辭令狀 : 告身)을 말한다. 5품 이하는 낭계(郎階)라 하며, 대간(臺諫)의 서경(署經)을 거친 뒤 왕명을 받아 이조 또는 병조에서 발령하였다. 연..
충주박물관에 전시되여있는 목조나한상이다. 나한이란 불제자 중에서 번뇌를 끊어서 인간과 하늘 중생들로부터 공양을 받을 만한 덕을 갖춘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각각의 표정이나 모습등이 생동감이 있고 자연스럽다. 나한신앙은 부처의 10대제자나 16나한, 18나한, 500나한을 신앙의 대..
수한면 후평리 인화경로당입구에 있는 고대용의 효렴비이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로 진료를 해준 공적으로 건립된 비석이다 비석에는 의학사고대용효렴비(醫學士高大鏞孝廉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옆면에는 비의 건립시기인 단기 4297년(1946년)팔월에 건립되였다고 적혀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진료를 실시한 공적으로 건립된 ‘의학사고대 용효렴비(醫學士高大鏞孝廉碑)’로‘ 단기사이칠구년병술(檀紀四二七九年丙戌) (1946)팔월일(八月日)’에 건립되었다. 앞면 좌우에는 ‘사친지성애급백행지의삼세자혜제중기근차재감발인충내용 벌석이표여송(事親至誠愛及百行知醫三世慈惠濟衆旣謹且才感發人衷乃用伐 石以表輿頌)’이라하였다. 콘크리트 기초위에 전체높이 152cm,비면119×37× 17.5cm의크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