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선돌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부도
- 화양동 암각자
- 보성오씨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효자각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화양구곡
- 효자문
- 사인암
- 오블완
- 단지주혈
- 공산성 선정비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법주사
- 한독의약박물관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Today
- Total
목록조헌 (1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오창읍 신평리 마을 한가운데 언덕에 있다.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 싸움에서 전사한 김절(金節)을 기리기 위한 충신각으로 1914년에 세웠다. 본래 오창읍 농소리에 세웠으나 옥천군 안내면(安內面) 월외동으로 옮겼다가 1957년 현재 위치로 옮겨 세웠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1985년에 보수한 것으로 정면 1칸, 측면 1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이다. 사면을 홍살로 막고 안에는 충신문 편액을 걸었다. 충신학생김절지려(忠臣學生金節之閭)라는 현판과 함께 충신시충장공김절지려(忠臣諡忠莊公金節之閭)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주민들에 의하여 잘 관리되고 있다. 김절은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화숙(和淑), 호는 계율당(繼栗堂)이다.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安內面) 출신이다. 충장공(忠壯公) 김절(金節)은 ..
청주에서의 의병하면 빠지지 않는 사람이 박춘무이다.청주의 이곳 저곳에는 박춘무와 그의 아들 박동명 등을 기리기 위한 많은 유적들이 있다.삼대창의사적비와 함께 원모단 그리고 민충사와 박동명 충신각등이 있다.구암리 박춘무의 묘로 들어가기전에 야산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박춘무의 신도비이다. 1592년 4월 13일. 부산에 침입한 왜적은 거침없는 파죽지세로 밀어닥쳐 보름만에 청산, 황간을 불태우고, 5월 2일에는 보은, 회인, 청주, 진천을 거쳐 서울로 진격했다. 적장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는 일본군의 일부를 청주성에 주둔시켜서 충청도 지역을 장악하게 했다. 그래서 청주읍성이 함락된 후 3개월은 우리 관군의 통제권은 상실된 상태였다.청주성 탈환작전은 7월 하순 시작되었다. 청주의 관군이..
윤여익 충신문(尹汝翼 忠臣門)은 파평인 금좌 윤여익의 충성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문이다 윤여익(1548-1592)은 임진왜란 때 중봉 조헌 趙憲)의 의병에 참여. 금산에서 싸우다가 7백의사와 함께 순절하였다. 광서9년(청 덕종광서제9년)고종 20년에 명정되었다. 원래 위치는 현재보다 앞쪽에..
[정의]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에 있는 의병장 조헌(趙憲)[1544~1592]의 비석. [건립경위]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조헌의 청주성 탈환을 기념하기 위한 전적비(戰蹟碑)로 그가 죽은지 약 120년 뒤인 1710년(숙종 36)에 세워졌다. [위치]상당구 서문동에 세웠던 것을 일제강점기 때 옮겨, 현재는 상당구 ..
안내면 도이리 후율당 안에 위치한 중봉선생의 충신문과, 그의 아들 완기의 효자정문이다 조헌(趙憲 : 1544 ~ 1592) 본관은 백천이며 중종 39년(1544) 6월28일 김포군 서감정리에서 아버지 응지와 어머니 차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자는 여식, 호는 중봉·도원·후율이라 했고, 임진왜란때 의병..
이 후율당은 1588년 선조 21년 중봉 조헌선생께서 율곡, 이이를 사모하여 자기가 율곡의 후학임을 자처하고 자기의 호까지 후율이라고 하였으며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안내면 용촌리 밤티 마을에 서당을 짓고 이름을 후율당이라 하였다. 1592년 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중봉선생은 이 후율당에서 의병을일으켜 1,700명을 규합하여 영규대사의 승병과 함께 청주를 수복하는 공을 세웠다. 후율당의 상량문에는 「後票靜庵孝子 退溪學一 昭昭在石潭任辰潭義兵多出是堂」이라 쓰여 있어 이곳에서 많은 의병이 배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후 본 후율당이 헐어져 없어진 것을 선생의 제자들과 후손들이 다시 지었다가 1864년 현 위치로 이전하였고, 1977년 정화사업으로 완전 보수하였다. 이 건물은 목조 기와집이며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