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밀양박씨
- 사인암
- 화양동 암각자
- 문의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경주김씨
- 곡산연씨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선돌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법주사
- 오블완
- 충주박물관
- 보성오씨
- 각연사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도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1/03/03 (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지금은 주거공간이 집합시설인 아파트에 사는 사람이 많타보니 빨래터라는 단어가 생소하게 들릴지 모릅니다. 시간이 갈수록 많은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사라질 단어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어제는 아내와 충북에 산재된 여러 유물들의 사진을 찍다가 눈에 띄이는 빨래터가 있어 사진을 한장 찍어 보았습니다. 흐르는 개울에 시멘트로 물길을 돌려서 빨래판 대용으로 사용할 넒은 빨래돌 주욱 늘여놓은 마을의 공동 빨래터 입니다. 이 곳에서 동네아낙들의 이야기는 꽃을 피웠을 테지요 아마 온 동네의 뉴스의 집합소가 아니었을까 합니다. 지금은 찾는이 없어 황량한 모습이지만 아직도 스러지지 않고 이리 마을한켠을 장식하고 있으니 좋습니다. 이 동네를 스쳐간 많은 사람들의 좋은 추억의 장소였을것 같습니다. 마을 공동빨래터를 바라보고 있노..
충북의 바람소리/음성군(陰城郡)
2021. 3. 3. 14:38

소이면 대장리 지금은 폐교된 대장초등학교 화단에 방치되어 있는 돌확입니다. 화단에 다른 괴석등과 함께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아마 민기등에 방치되어 있던 돌확을 초등학교 화단을 조성하며 아이들의 교육용이나 또는 조경 용도로 놓아 놓은것 같습니다. 돌확은 곡식이나 양념을 돌로 문질러 쓿거나 가는데 사용하는 연장이다. 여기에 보리쌀을 넣고 주먹만한 돌로 돌려가며 바닥을 문질러 대꼈다. 또 마늘이나 고추와 같은 양념을 같은 방법으로 으깨거나, 생선을 뼈 채 가는데도 썼다. 방앗간이 생기기전에 일반 민기에는 하나씩 모두 있었다. 여러가지 모양의 돌확등이 많다.
충북의 바람소리/음성군(陰城郡)
2021. 3. 3. 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