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충북의 문화재
- 상당산성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밀양박씨
- 오블완
- 보성오씨
- 효자각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곡산연씨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문경새재
- 사인암
- Today
- Total
목록2021/07 (6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99zT/btraBTXGMEu/RBSv1E3fWLkmE2nunvlzhK/img.jpg)
시원한 아메리카노 한잔 들고 한참이고 서성이던 그 곳. 아내와 추억 하나 만들자 훌쩍 떠난 길. 가슴속에 탑 그림자 하나 여미고 돌아왔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qZIv/btq9OwIDOVX/eB2m8bha2qTDKXhFQv2ua1/img.jpg)
내북면 동산리에 있는 노면청의 불망비입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일제 강점기인 대정6년(1917년)으로 추정됩니다. 비석후면의 비석의 건립시기는 누군가에 의해 인위적으로 훼손되였습니다.일제강점기 시절의 일본연호는 많이 훼손된 경우가 있습니다.비석의 전면에는 전의관노면청자헤제중불망비(前醫官盧勉淸慈惠濟衆不忘碑)라고 음각되여 있습니다.비석의 위치는 현재의 위치가 아니라 길 건너편에 있었는데 아파트 공사를 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고 합니다.노면청은 일제강점기 시절 의료혜택이 미비했던 이 곳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의술을 베풀었으며 빈민들에게는 무료로 의술을 베풀어 질병으로 부터 많은사람들을 구해주었다. 이에 그 혜택을 입은 많은 사람들이 주축이 되여 이 비석을 세웠다. 노면청은 (1860(철종 11)~1938) 조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EKin/btrac88LNKL/JxJx8YKqWSKvRHtvyVZr0k/img.jpg)
미원면 중리에 위치한 느티나무보호수입니다. 1982년 11월11일에 청주 제29호로 지정되었으며 지정당시 나무의 수령은 300년 높이 17미터 둘레 4.7미터였습니다. 마을이징이 관리주체로 되어 있으며 입구에는 사각형석주를 이용하여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을 세워 놓았습니다. 나무둘레에 보호청책을 둘렀으며 마을주민들의 관심을 받고 새끼줄을 두르고 있습니다, 의자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한산인 이현규의 비석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bxUD/btq94qJIKDh/lVwu75y2SZQtGanV2DdxaK/img.jpg)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에 비암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조선 전기 아미타여래좌상입니다. 전의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비암사 극락보전에 주존불로 봉안하고 있는 단독의 대형 소조여래좌상이다. 상호(相好)[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 표현이나 착의법, 신체 비례 등을 살펴보면 조선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뚜렷한 이목구비와 함께 눈을 옆으로 길게 처리하면서 그 끝부분을 위로 올려 이국적인 인상을 준다. 코는 크고 입은 작은 편이며, 양쪽 볼의 양감은 풍부하고, 귀도 크고 두껍게 조각하였다. 목에는 삼도(三道)[세 개의 줄]가 있고, 어깨는 넓어 건장하다. 착의법은 오른쪽 어깨를 살짝 덮은 변형편단우견식이다. 왼쪽 어깨로 넘어가는 대의(大衣)[설법을 하거나 걸식할 때에 입는 승려의 옷...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GkB6/btracLFZqxo/oqdxMV1ZAsDBrOzFV7zkKk/img.jpg)
미원면 중리에 있는 남양홍씨익산군파의 재실인 새덕재(世德齋)입니다. 시멘트블럭담으로 담을 둘렀으며 남양홍문 가문의 공덕비와 함께 세천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익산군파(益山君派)는 파조가 홍운수(洪云遂)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BpuH/btq9NsVREJ3/TGDtLPDUmrX1yiagCRM3Nk/img.jpg)
전의 비암사 삼층석탑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 경내 극락보전(極樂寶殿) 앞에 위치한다. 전의 비암사 삼층석탑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碑岩寺)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단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1982년에 복원 공사를 하면서 망실된 기단부를 보수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전체적으로 1층 탑신에 비하여 2~3층 탑신의 체감률이 크고, 옥개석 하단 받침이 4단인 점 등을 볼 때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1960년 전의 비암사 삼층석탑 꼭대기에서 계유명전씨 아미타불삼존석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三尊石像)[국보 제106호], 기축명 아미타여래제불보살석상(己丑銘阿彌陀如來諸佛菩薩石像)[보물 제367호], 미륵반가사유석상(彌勒菩薩半迦石像)[보물 제368호]이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