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상당산성
- 공주박물관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법주사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오블완
- 효자문
- 사인암
- 단지주혈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사과과수원
- 충북의 문화재
- 보성오씨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곡산연씨
- 국립청주박물관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효자각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2021/09 (14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u6Vb/btreLJYz3Wp/7qcK1PFdx1IOEbgfMBClAk/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정현석의 선정비.정현석은 철종 대의 음성현감이었으며, 자세한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비문으로 보아 음성현감 재직 때 선정을 베풀었던 것으로 보인다.선정비는 1860년(철종 11)에 세워졌고, 현재 음성향교 앞에 다른 비석군들과 함께 있다. 총 높이는 129㎝이며 비신과 개석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碑身)은 높이 98㎝, 앞면 51㎝, 측면 11㎝이고, 개석(蓋石)은 높이 31㎝, 앞면 52㎝, 측면 15㎝이다. 비 앞면에 '현감정후현석애민흥학영세불망비(縣監鄭侯顯奭愛民興學永世不忘碑)'라고 쓰여 있다. 정현석은 1817년(순조 17)~미상. 조선 말기 관리. 자는 보여(保汝)이고, 호는 박원(璞園)이다. 본관은 초계(草溪)이다. 교관(敎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gwf0j/btrfbYtSn0X/IJVGQAyKznZxL5WveY6j0K/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성규주를 기리는 비입니다.성규주는 순조 때에 음성현감으로 애민선정(愛民善政)을 하여, 후세 사람들이 그의 치적을 기리기 위하여 불망비를 세웠다.성규주 불망비는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서 충주로 가는 구 도로를 따라 1㎞쯤 올라가면 음성향교가 나오는데 그 앞에 있다.비석은 이수(螭首)를 얹은 것처럼 표현하기 위해 화강암 1매석을 요철을 주어 구분한 모습이며 전체 높이는 122㎝이다. 전면 중앙에 세로 한 줄로 비문을 새겼으며 뒤쪽에는 아무런 글도 적혀 있지 않다. 비문은縣監成侯○○愛民善政碑(현감성후○○애민선정비”라고 음각되어 있다. 성규주 불망비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1기가 있고, 이곳에 1기가 있어 주목되나 2기 모두 시대를 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69As/btreRS1f3Di/rKXM78QHdvu9p7rDnHKvw0/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이종청의 선정비입니다.이종청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일(仲一)로, 서울 태생이다. 부친은 승정원우승지(承政院右承旨) 이위달(李渭達)이다. 1837년(헌종 3) 식년시 진사(進士) 3등 27위로 입격하였다. 1844년(헌종 10)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으로, 이듬해 음성현감에 부임하였다. 선정비는 1849년(헌종 15)에 세워졌고, 현재 음성향교 앞에 다른 비석군들과 함께 있다.비갈형의 돌을 통째로 사용하여 상단 부분을 삼각 꼴로 만들고, 원형의 장식을 하였다. 상단과 비신을 구획한 뒤 앞면에 선정비문과 건립 연대를 적었다. 전체 높이 130㎝이다.비신 앞면에 '현감이후종청애민선정비(縣監李侯鍾淸愛民善政碑)'라 쓰여 있고, 도광(道光) 연간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8LyC/btrePWQnH6G/Jlcx33jwUG8C1yhjNCr0Rk/img.jpg)
1664(현종5) - 1735(영조11) 조선조의 문신입니다, 자는 성진(聖珍)이고, 호는 정헌이며, 본관은 벽진이다. 지걸(志傑)의 아들이고 윤증(尹拯)의 문인이다. 맹동면 쌍정리 배미 사람이다. 1699년(숙종23) 문과 갑과(甲科)로 급제 사헌부 지평(地平)이 되고, 1699년(숙종25)에 음성현감(陰性縣監)을 지내고, 1709년(숙종35) 병조정랑(兵曹正郞), 이듬해 수찬(修撰)이 되고, 숙종41년 동래부사(東來府使)를 지냈다. 1721년(경종1) 충청도·경상도 관찰사를 지내고, 1725년(영조1) 남양부사 도승지에 오르고 영조5년에 대사헌을 지냈다. 1733년(영조9)에 벼슬에서 물러났으나 나라에서는 봉조하(奉朝賀)의 예우(禮遇)를 내리었다. 고향에 돌아와서 갱장록(羹墻錄)을 써서 진상했다. 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AVvlK/btreKJY4oO4/G762MlgaA1RokN4KvZXMj0/img.jpg)
옹몽진(邕夢辰)[1518~1584]의 본관인 순창 옹씨는 고려 시대에 병부 상서를 지낸 옹희태(邕羲泰)를 비조로 하며, 원래 고려 시대에 거족이었다 한다. 고려가 망하면서 초산(楚山)[지금의 전라북도 정읍시]으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옥천(玉川)[지금의 순창]의 향리로 강속되었다. 옹몽진이 음성 현감을 역임하고 충청도사, 병조 좌랑을 거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使)에 이르러 집안을 다시 세우면서 순창 옹씨의 시조가 되었고 한다. 그러나 옹몽진의 증조할아버지인 옹은(邕誾)을 시조로 보기도 한다.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응룡(應龍)·응기(應祈). 증조할아버지는 옹은(邕誾), 아버지는 순창군의 호장인 옹태운(邕太雲)이다. 옹몽진은 1518년(중종 13년) 10월 순창군의 오산 아래[지금의 순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W0CR/btreOsPyh2p/GqFWEQJCdjlRY6IKDzGXSK/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주목사 이국헌의 선정비입니다.이국헌(李國憲)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숙(文叔)이다. 부친은 이여연(李汝淵)이다. 1660년(현종 1) 증광시(增廣試)에 생원 3등 45위로 입격하였다. 1676년(숙종 2) 호조정랑(戶曹正郞), 문의현령(文義縣令), 부사과(副司果), 이듬해 금산군수(錦山郡守)를 역임했다. 1683년(숙종 9) 부사직(副司直), 1684년 밀양부사(密陽府使), 상의첨정(尙衣僉正), 무주부사(茂朱府使), 1685년 남양부사(南陽府使), 1687년 훈련주부(訓鍊主簿), 1689년(숙종 15) 충주목사(忠州牧使)에 부임하였다. 선정비는 1691년(숙종 17)에 세워졌고, 현재 음성향교 앞에 다른 비석군들과 함께 있다.묘갈형 비신으로 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