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화양구곡
- 선돌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부도
- 공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문
- 충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각연사
- 단지주혈
- 상당산성
- 티스토리챌린지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경주김씨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법주사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Today
- Total
목록2021/09 (14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1HDrh/btreMDDP7cd/9VsLHutbYFilq8BxR5I8oK/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조동환의 비석입니다.조동환의 자는 문옥(文玉), 호는 정암(靜岩)이며, 본관은 풍양(豊壤)이다. 음성읍 평곡리에서 살았으며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신정왕후(神貞王后) 조대비(趙大妃)와 혈연 관계가 있어, 1905년 탁지부주사(度支部主事)에 기용되었고 삭녕세무서장으로 근무하였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 의하면 조동환은 1905년 7월 度支部 稅務主事에 임명되었다.1908년 10월 朔寧稅務署長으로 영전되었다.1911년 6월 부터 8년 4개월간, 1922년 4월 부터 5개월간, 1923년 10월 부터 9년 5개월간 만 18년 남짓 陰城面長으로 재직하였다.1924년, 1927년 및 1930년에는 선거에 의해 忠淸北道評議員으로 선출되었다.조선총독부시정25주년기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WG9c/btreTHZuUy4/bjJgzxKEL6hRonke9FhKuK/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앞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변중기의 기념비입니다. 변중기 기념비는 1930년대 읍내리 1구장을 역임한 변중기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기념비이다. 변중기는 읍내리 1구장 역임 이외의 행적은 미상이다. 비는 1936년에 세워졌다. 비신(碑身)의 총 높이는 119㎝이며, 앞면의 폭 41㎝, 측면의 두께 15㎝이다. 비석 앞면에는 '읍일구장변중기기념비(邑一區長邊重基紀念碑)'라고 쓰여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AdE4/btrfqCXSmNw/AeVspOxzHa2lopw7qAVG51/img.jpg)
충북에 산재되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좋습니다. 방문하시는 분들의 가까운 곳에 있는 옛님들을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곳 저의 블로그에 없는 유물이나 유적은 올려주시면 꼭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여나 찾기가 조금 어려운 곳은 지번을 찍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블로그 이웃분들이 원하시는 곳이면 어디든 찾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mD19/btreRSz5D5R/9GsiwqU9nYwXlIUiRKHVmk/img.jpg)
사리면 소매리에 위치한 단양종중묘지에 있습니다.헌종때 별시병과에 급제하였으며 아버지는 통사랑을 지낸 우영원입니다.비석의 전면에는 선전관단양우공휘치연지묘배숙인진천임씨부간좌(宣傳官丹陽禹公諱治沇之墓配淑人鎭川林氏祔艮坐)라고 적혀있습니다. 비석은 근간에 후손들에 의하여 조성 되었습니다. 선전관은 조선시대 형명(形名)·계라(啓螺)·시위(侍衛)·전명(傳命) 및 부신(符信)의 출납을 맡았던 관직. 1457년(세조 3) 어가(御駕) 앞에서 훈도(訓導)하는 임무를 맡은 무관을 선전관이라고 일컫게 됨으로써 비로소 그 관직이 처음 생겼다.이 때 왕과 가까이에 형명이 있는 곳에 서도록 되어 있었던 선전관은 모두 15인이었는데, 이들이 3교대로 5인씩 입직(入直)하여 근무하였으며, 당번 때에는 사정전(思政殿)의 문 안에서 직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GjCD/btrfgFVQsIt/3tTMvbH63R3Io2TN44J0H0/img.jpg)
우산리 지매마을 초입 찾기가 힘들다. 네비에 의지하여 우산리를 찾으면 우산1,2리로 나뉘어져 있어 갈피를 잡지 못한다. 지매마을은 우산2리이다. 우산2리 길로 접어 들어서 금강유원지쪽이 아닌 산쪽으로 난 소로를 따라 계속 오르면 산중턱에 전원마을이 조성되어 있다. 지아지 효자문은 마을 중간 잔디밭에 자리하고 있다. 예전의 효자문은 쇠락하여 충주지씨문증에서 새로 효자문을 중수하였다. 효자의 이름이 자료에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옥천군지를 참조하면 지악지(池岳只)라 적어 놓았습니다. 岳只는 지아지의 字입니다.원래의 이름과 자를 혼용하여 사용하니 각 자료마다 이름이 달리 나오는것이지요. 지매마을에 있는 효자비에 새겨진 이름은 지아지(池阿只)입니다. 효자문의 이름을 사용하겠습니다. 효자문은 동이면 우산리 지매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ejPr/btreRStsaHp/xsFF9dWkDBfYhD0Hwf3DQk/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앞에 있는 유학자 정조헌(鄭祖憲)을 기리는 비. 음성향교 전교(典校)였던 정조헌(鄭祖憲)의 본관은 초계이며, 자는 성륜(聖倫)이고, 호는 구봉(九峯)이다. 시조 광유후(光儒候)의 31세손이고 효자 위은 정인상(鄭寅尙)의 아들로, 어머니는 효부 현풍곽씨이다. 정조헌은 평생 윤리와 도덕을 몸소 실천하고 유도(儒道) 진흥에 심신을 바쳤다. 이렇게 평생 유학 진흥에 공헌한 것을 인정받아 1984년 11월에 음성향교 앞에 정조헌의 공적을 기리는 존성비를 세웠다. 신재 이수원이 제문을 지었고, 『신재집』에 이수원이 정조헌을 위해 지은 시가 몇 수 있다. 총 높이가 230㎝인 석재 비석이다. 비의 앞면에는 '전교정공조헌존성비(典校鄭公祖憲尊聖碑)'라고 쓰여 있다. 정조헌은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