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효자각
- 화양구곡
- 공산성 선정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밀양박씨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효자문
- 문경새재
- 사인암
- 공주박물관
- 법주사
- 부도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각연사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선돌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목록2021/09 (14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사리면 사담리 비석거리에 있는 해평인 효부윤씨의 비석입니다. 해평윤씨는 단양인 우현정의 부인으로 남편이 병을 얻자 열심으로 공양하고 시탕하여 남편의 병을 고쳤다고 전해집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효부윤씨지비(孝婦尹氏之碑)라고 적혀있으며 비석의 후면에는 윤씨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독락정은 1998년 6월 26일 충청북도문화재자료 제23호로 지정되었다. 절충장군중추부사를 지낸 주몽득이 1607년(선조 40)에 세운 정자로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으로 방 1칸과 마루가 있다. 처음에는 정자로 지었지만 후에 유생들이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전당으로 사용하여 서원 구실을 하였다. 1772년에 중수하고 1888년, 1923년 두 차례에 걸쳐 보수하여 보전해오다가 1965년 초계주씨독락옹파 문중에서 보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건물 앞쪽에는 1668년 당시 군수였던 심후(沈候)의 ‘독락정(獨樂亭)’이란 액자가 걸려 있고, 대청에는 입재(立齋) 송근수(宋近洙)의 ‘율시기문(律詩記文)’이 각자되어 걸려 있다. 이 정자로 인해 마을 이름도 독락정(獨樂亭)이라고 부른다. 정자 뒤쪽에..

조선후기 서예가이며 문신이였던 윤순이 교류하던 이하곤등과 화양동 등을 유람하면서 각자한 것으로 전해진다.바위에 새겨진 글씨주변에서 주춧돌등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주위에 정자가 있지 않았나 추정이 된다. 사담리 펜션 "쉴만한물가"가 위치한 곳 바위에 암각되어 있으며 송풍석바위 암각자 앞으로 정자자리가 있다.

사담리 비석거리에 있는 단양인 경당우정규의 송덕비입니다. 선생의 동네를 위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잊지않기 위하여 동네주민들의 뜻을 모아 1988년 4월 선생사후 35년만에 선생을 기리는 송덕비를 세웠다. 비석의 전면에는 경당우정규선생송덕비(敬堂禹政圭先生頌德碑)라고 새겼으며 후면에는 우정규선생의 송덕내용을 기술하였습니다. 우정규 선생(1884-1953)은 이 곳 사담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부터 어른을 공경하고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또한 장년이 되어서는 마을의 정신적인 지도자로 이웃을 도우며 동네발전을 위해 열심을 내셨다. 1938년 봄에 가뭄이 들어 농사가 피폐하고 굶는 사람들이 동네에 속출할 때 선생은 당시 괴산군을 방문하여 당시 괴산군수였던 장훈에게 동리의 힘든 상황을 직고하여 동네주민들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에 있는 오세환 의 처 경주김씨의 열녀각.정려기문에 의하면 오세환 의 처 경주김씨는 남편이 병으로 죽자 식음을 전폐하고 애통해 하다가 발인하는 날 스스로 목숨을 끊고 25세의 짧은 삶을 마감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조정에서는 1752년(영조 28) 4월에 정려를 내리고, 그 다음 해에 열녀각을 세웠다. 흥덕구 송절동에 위치하고 있다. 보성오공세환처열녀경주김씨지정려(寶城吳公世煥妻 烈女慶州金氏旌閭)라고 현판에 써있습니다. 기존의 위치하고 있던 장소등이 테크노밸리 산업단지등으로 편입되자 현재 이 곳으로 보성오씨의 납골묘를 조성하면서 정려문도 같이 이건한것으로 보입니다. 송절동은 원래 골짜기 안(속)에 절이 있어서 ‘속절’이라 하였는데, 이것이 변하여 ‘송절’이 되었다고 합니다. 청..

오창초등학교에 자리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1939년에 오창면장을 지낸 김규빈의 송덕비입니다 건립시기는 昭和15년 입니다. 글자가 인위적으로 훼손되어 있지만 김규빈의 군수 재임기관을 감안하면 지워진 글자는 소화(昭和)로 추정됩니다. 소화15년이면 1940년입니다. 오창면 유지일동이 세웠읍을 알수 있습니다. 송덕내용은 도로 및 제방공사등을 실시함으로 면민들의 통행과 농촌발전에 기여한 공을 잊지않기 위하여 세웠다고 합니다. 일제 강점기 시절의 면장이나 구장등의 송덕비와 기념비등은 도처에 많이 산재되어 있습니다. 당시의 시대상을 이해하고 나라사랑하는 마음과 일제의 악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안내판등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이 비석을 세웠다는 오창면의 유지들은 누구일까요? 일본에 빌붙어 자신의 호의호식을 채웠던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