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밀양박씨
- 문경새재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부도
- 효자문
- 보성오씨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사인암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선돌
- 각연사
- 상당산성
- 법주사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곡산연씨
- 청풍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목록2021/10/19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UaYI/btreY3QGSbS/W8Tc0fplxDxpubPALnPtZ0/img.jpg)
옥천읍 교동리에 자리하고 있는 옥천향교 대성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석물입니다. 석물이 원래의 자리는 아닌 듯 합니다. 폐사지 등 다른 곳에 있던 석물을 가지고 와서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향교등에 의식이 있을 때 손을 씻는 그릇을 얹어 놓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KEzM/btrgRTd4VcY/jFO6BA4TyWhPORvDjo4LNK/img.jpg)
옥천읍 수북리 화계마을에 있는 1723년(경종3) 세워진 정려이다. 건물양식은 다포형식의 공포와 맞배지붕형태의 목조기와집이다. 건물의 한평으로 건립되였으며 지금은 연일정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정윤세鄭潤世의 처 밀양박씨(密陽朴氏, 18세기 초엽) 밀양박씨는 영동 출생으로 어린 나이에 동이면 지양리紙羊里 현동마을의 정윤세에 게 출가하였다. 그녀는 비록 시댁의 집안 사정이 넉넉지 못하였으나, 시부모를 지성으로 모시고 남편에게 순종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이 영동 처가에 다녀오다 살인 누명을 쓰고 관가에 잡혀 갔을 때 남장을 하고 관가에 들어가 남편 대신 감옥살이를 했다. 재판을 받는 과정 에서 살인범이 잡혀 남편의 누명을 벗고 자신도 살게 되었다. 스무 살 되던 해에 남편이 갑자기 병으로 세상을 떠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7emf7/btrgUnMtytW/yKqkReLKkZFu4k5qADStKK/img.jpg)
옥천군 동이면 금암리에 있는 전엽의 효자문입니다. 전엽의 효자문 건너편으로는 호랑이가 파 주었다는 호천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전엽(全燁, 1505 연산군 11~1583 선조 16)은 호는 쌍암雙岩, 본관은 옥천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상주목사 등을 지낸 송정松亭 전팽령(全彭齡, 1480~1560)이다. 1543년(중종 38)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았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하며, 부친상을 당한 뒤 여막을 짓고 3년간 시묘하였다. 시묘기간 중에 흰 제비가 깃들었으며, 묘 근처에 우물이 없어 고생을 하였는데 하루 는 호랑이가 나타나 앞발로 바위 밑을 한참 후벼 파니 샘이 솟아 가뭄에도 마르지 않으므로 3년간 무사히 시묘를 마칠 수 있었다고 한다. 60세 되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