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각연사
- 단지주혈
- 밀양박씨
- 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효자문
- 상당산성
- 법주사
- 공주박물관
- 선돌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오블완
- 부도
- 부여박물관
- 사과과수원
- 문경새재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청풍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효자각
- 사인암
- 티스토리챌린지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2021/10/14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권준은 조선 전기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안동. 자는 오미(五美). 아버지는 권근(權近)이다. 부인은 해주정씨로 찬성 정이(鄭易)의 딸이다. 1422년(세종 4) 문음(門蔭)으로 종묘부정에 제수되고 1430년(세종 12) 호조좌랑이 되었다. 1434년(세종 16) 종부시판관(宗簿寺判官)으로 강원도와 함길도에 가서 기민 구제 상황을 시찰하였다. 사헌부지평, 1438년(세종 20) 경기경력, 1444년 군기시부정(軍器寺副正)을 지내고 이듬해 경기도 기민 구제를 위한 경차관(敬差官)으로 파견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년) 음죽현감, 1452년 우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 사헌부대사헌이 되고, 정난공신 2등에 녹훈되어 안천군(安川君)에 봉해졌다. 1455년(세조 1) 형조판서에 올라 선위사(宣慰使)로 신천에 ..
1398년(태조 7)에 창건하였고, 1442년 세종 24년에 송을개宋乙開 옥천군수가 향교 남쪽에 9칸의 명륜당을 건립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중에 불탄 것을 그 뒤에 다시 세웠다. 1954년에 유림총회에서 황폐한 향교 재건을 결의하고 1961년에 복원하였으며, 1966년과 1974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옥천 읍내 중심부에서 조금 떨어진 마성산 현무봉 줄기에 자리하고 있다. 향교 동구에는 홍살문이 놓여 진입할 때에 경건함을 일깨운다 향교가 있는 곳은 책임자인 전교를 비롯해서 향교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마을을 이룬다. 교동리라는 지명 또한 향교에서 유래한 것으로 읍내 마을과는 구분되는 또 하나의 거주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옥천향교도 대부분의 지방 도시의 경우처럼 외곽에..
권근은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안동.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 호는 양촌(陽村). 증조부는 권부(權溥)이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하여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하였다. 공민왕이 죽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을 주장하였다. 1390년(공양왕 2) 윤이(尹彝)·이초(李初)의 옥사에 연루되어 한때 청주옥에 구금되기도 하였다. 뒤에 다시 익주(益州)에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어 충주에 우거(寓居)하던 중 조선왕조의 개국을 맞았다. 조선왕조에 출사하여 예문관대학사(藝文館大學士) 등을 지냈고, 1396년(태조 5) 이른바 표전(表箋) 문제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한 뒤 개국원종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