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국립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오블완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선돌
- 곡산연씨
- 법주사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단지주혈
- 상당산성
- 부도
- 사과과수원
- 한독의약박물관
- 밀양박씨
- 각연사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각
- 경주김씨
- 부여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청풍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목록2022/08/31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gD44z/btrKHZvI9CO/n8lAz4hWeXfms1iYKGj380/img.jpg)
강릉시립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강릉부사 이응우의 선정비입니다. 비석의 재질은 화강암이며 비석의 크기는 가로 46.2 세로116 두께13센티이며 비석의 전면에는 부사이공응우선정비(府使 李公膺愚善政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승정원일기 2839책 (탈초본 132책) 고종 14년 6월 20일 갑진 23/42 기사 1877년 光緖(淸/德宗) 3년 ○ 李萬稙以吏批言啓曰, 江陵大都護府使, 今當差出, 而本府以關東雄邑, 物衆地大, 素稱難治, 不可不擇差, 同道及他道有聲績已準限未準朔守令, 竝擬, 何如? 傳曰, 允。 再度, 洪輔燮爲司饔直長, 崔翰周爲司宰直長, 南廷莢爲北部令, 徐相祖爲古阜郡守, 李膺愚爲江陵府使。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6Ftr/btrKGQzxGAe/xr7uhXwAWR3nv9fYIqk0O1/img.jpg)
강릉시립 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자리하고 있는 조선조 고종대의 강릉부사 이서영의 선정비로서 비석의 전면에는 부사이공서영선정비(府使李公瑞永善政碑)라고 각자되어 있으며 돌의 재질은 화강암이며 비석의 크기는 가로 40.5 세로 108, 두께15.5센티입니다. 이서영은 덕수인으로 1855년 철종8년에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이민성이다. 선정비는 1890년인 경인년 팔월에 건립되었다. 승정원일기 2977책 (탈초본 136책) 고종 25년 9월 22일 경오 35/53 기사 1888년 光緖(淸/德宗) 14년 ○ 有政。 吏批, 判書趙秉世進, 參判趙榮夏進, 參議李鎬喆進, 左副承旨金昇圭進。 以閔泳煥·韓章錫爲賓客, 尹榮信爲大司憲, 金稷鉉爲大司諫, 宋淳鐸爲副修撰, 趙定熙爲同敦寧, 金丙基爲兵曹參知, 鄭範朝爲禮賓提調, 李建弘爲孝陵參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KgTR/btrKFsYq0cx/17mlUdBlxD3DayAiq2Kfkk/img.jpg)
가고리는 본래 보은군 산외면의 지역으로서 지형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어 더구리 또한 덕우리(德友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고리(加古里)라 하였다. 교통은 마을 앞을 지나 청원군 금관리를 잇는 아스팔트 도로가 2차선으로 뚫려 있다. 자연마을 골-말 : 더구리에서 중심이 되는 마을, 서쪽 골짜기를 따라 형성되었다고 하여 골마을이라고 한다. 부자-골 : 옛날에는 부자가 많이 살았다고 하며 지금도 기왓장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함. 양지-말 : 골말의 동쪽 가막골 고개 밑에 있는 양지쪽 마을. 중-뜸 : 골말 동쪽에 있는 마을로 더구리 중간이 됨. 기타지명 가막골-고개 : 더구리에서 미원면 금관리 가막골로 넘어가는 고개 가마솥처럼 생겼다고 하며, 흙이 질어서 가막골 고개라고도 한다. 국수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