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도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한독의약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효자문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각연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법주사
- 사인암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오블완
- 효자각
- 선돌
- Today
- Total
목록2022/08/06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qnDI/btrI0eBVUvl/HxqLbpZEkY7frK7ovCTxVK/img.jpg)
공산성 입구에 자리한 선정비중에 하나인 김응근의 선정비입니다. 김응근은 1857년 충청도 관찰사로 부임하였습니다. 이 곳 공산성 비석군에는 김응근의 선정비가 2기 자리하고 있습니다. 1859년에 "공산지"를 편찬할 때 서문을 쓰기도 했습니다.비석의 전면에는 도순찰사김공응근청덕선정비(公山城 都巡察使金公應根淸德善政碑)라고 써있으며 비석의 크기는 약 139*54*26의 크기로 비석의 건립시기는 경신오월(1860년)입니다. 승정원일기 2596책 (탈초본 124책) 철종 8년 10월 5일 임자 23/23 기사 1857년 咸豊(淸/文宗) 7년 忠淸監司金應根疏曰云云。 答曰, 省疏具悉。 卿其勿辭, 往欽哉。 김응근은 1793(정조 17)∼1863(철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계경(溪..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IHKk/btrI2Y5Iv4i/rDpdhksRScooW2TKX6S8yk/img.jpg)
공산성 선정비군에 자리하고 있는 공주 우영장을 지낸 조의철의 불망비입니다. 조의철은 조선 고종때 공주영장을 지낸 인물로 "고종살록"에는 1868년 오페르트의 남연군묘 침범사건이 벌어졌을 때 덕산군수의 보고를 받은 공충감사 민치상의 명에 의해 조의철이 감영의 무기와 100여명의 군졸을 이끌고 경내로 출동하였으나 그 흔적을 발견할수가 없었다 하는 기사가 있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우영장조공의철청백애휼교졸영세불망비(右營將趙公義轍淸白愛恤校卒永世不忘碑)라고 각자되어 있다. 비명으로 보면 군영에 딸린 장교와 군졸들을 구휼했던 공적이 있는것으로 추측된다. 비석의 건립년도는 을해년(1875년)이며 비석의 크기는 143*44*22 이다. [ ─南延君墓盜掘事件 ] 오페르트에 의한 1868년(고종 5)의 남연군묘 도굴미수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vQEt/btrIYCWZDJW/k51qTdBYihanUkuKy0ikrk/img.jpg)
민치상은 1867년에 공충도관찰사가 되었다. 공산성 선정비군에는 민치상의 선정비가 3기 자리하고 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관찰사가 끝난 후 1870년 11월까지 감사로 있은 후 형조판서가 된다. 1870년 이후에 세웠을것으로 추측된다. 비석의 전면에는 도순찰사민공치상영세불망비(都巡察使閔公致庠永世不忘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비석의 크기는 133*51*25정도입니다. 승정원 일기에 의하면 승정원일기 2718책 (탈초본 128책) 고종 4년 9월 25일 을해 16/21 기사 1867년 同治(淸/穆宗) 6년公忠監司閔致庠所報..... 민치상은 1825(순조 25)∼1888(고종 25). 조선 말기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경양(景養), 사호(賜號)는 하당(荷堂).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민유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