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각연사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충북의 문화재
- 사과과수원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의문화재단지
- 법주사
- 부도
- 문경새재
- 보성오씨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효자문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40)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부석사로 오르는 길을 걷다보면 부석사에서 가장 첫 번째로 만나는 유물은 바로 바위에 새겨진 글씨다. 매표소로 진입하기 전 할머니들 노점이 있는 작은 바위에 새겨진 글씨. ‘허문동천(虛門洞天)’‘허문’은 문짝이 없는 빈 문으로 아마도 일주문을 말하며 ‘동천’은 신선이 사는 세계를 일컫는데, 즉 신선의 세계로 가는 문이란 뜻이 된다. 여기부터가 바로 부석사의 시작인 셈이다.그냥 지나치기 쉬운 곳이다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文成公廟)는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소수서원 안에 있는 제향 기능의 사당으로, 안향을 비롯하여 안축, 안보, 주세붕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이 건물은 2004년 4월 6일 보물 제1402호로 지정되었고, 영주시청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을 주향(主享)으로 하는 사우로, 1544년(중종 39) 추배(追配)된 문정공(文貞公) 안축(安軸), 문경공(文敬公) 안보(安輔), 그리고 1633년(인조 11) 추향(追享)된 문민공(文敏公) 주세붕(周世鵬)의 위패를 함께 봉안하고 있다. 주향인 안향(1243~1306)은 고려 1260년(원종 1)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286년(충렬왕 12) 왕과 공주를 호종(扈從)하여 중국 원나라에 들어가 『주자전서(朱子全書)』..

영주소수서원 박물관 야외에 있는 석조물과 공덕비입니다 박물관은 내부공사중이라 들어갈수가 없었습니다.

영주 소수서원에 있는 열부인 번남박씨의 열부각입니다.단청등 보수를 하는중이었지만 잘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번남박씨 가문에서 민씨가문으로 시집을 와서 생활을 하다가 남편이 일찍 죽자 성심으로 시댁을 섬기었다.주위에 번남박씨에게 연정을 품은 자가 집요하게 접근하였지만 번남박씨는 이에 굴하지 않고 관에 신고를 하였다. 그러나 관에서도 킁 도움이 되지않고 고을안팎으로 좋지않은 소문이 들리니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며 자결을 하였다.

보물 제249호. 높이 5.26m.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쌓은 전형적인 신라석탑으로서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榮州浮石寺無量壽殿, 국보 제18호) 옆의 높은 대지 위에 세워져 있다. 지대석(地臺石)과 하층기단의 중석(中石)을 한데 붙여 8석으로 짜고 중석 각 면에는 2개의 우주(隅柱: 모서리기둥)와 그 사이에 2개의 탱주(撑柱: 받침기둥)를 모각(模刻)하였다. 하층기단 갑석(甲石)은 윗면이 경사졌으며 그 중앙에 상층기단 중석을 받기 위한 호형(弧形)과 각형(角形)의 받침을 조각하였다. 상층기단중석은 각 면 1매씩의 판석을 세워서 짜고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 하나씩을 모각하였다. 상층기단 갑석은 2매의 장판석(長板石)을 남북으로 길게 덮고, 밑에는 부연(副椽: 탑의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