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효자각
- 각연사
- 오블완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선돌
- 문경새재
- 보성오씨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충북의 문화재
- 충주박물관
- 부도
- 공산성 선정비
- 곡산연씨
- 청주박물관
- 효자문
- 부여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구곡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 (83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우팽(禹伻)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단양(丹陽)이며. 할아버지는 지도평의사사(知都評議使司) 우경절(禹慶節)이며, 할아버지는 문하시중 우중대(禹仲大)이다. 아버지는 문하시중 우천석(禹天錫)이며, 부인은 군부인(郡夫人) 청풍김씨 감문위대호군 김현창(金鉉昌)의 딸이다. ..
산척면 송강리 행정마을에 있는 조선조 문신이였던 손순효의 묘지이다.묘지에는 구.신비석과 문인석2점과 장명등 1점이 있으며 묘소는 호석을 두르고 있다.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경보(敬甫), 호는 물재(勿齋)·칠휴거사(七休居士). 영(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례(有禮)이고, 아버지는 군수 밀(密)이다.어머니는 정선군사(旌善郡事) 조온보(趙溫寶)의 딸이다. 1451년(문종 1)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453년(단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또, 1457년(세조 3)에는 감찰로 문과중시에 정과로 각각 급제하였다. 이어 경창부승에 발탁되고, 병조좌랑·형조정랑·집의·전한 등을 역임하였다. 1471년(성종 2) 17조의 시무책을 올려 채택되어 형조참의에 특진되었으나 직무상 과오가 있다 하..
찾는이 없으니 풀들만 무성하다. 산척면 송강리 행정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손순효의 묘지에 있는 석등이다. 손순효의 무덤에는 문인석 2점과 장명등 그리고 구,신비석이 자리하고있다.무덤에는 호석을 둘렀다. 장명등은 비단 분묘뿐만 아니라 사찰이나 관가 등의 공공 건축물의 처마 끝..
산척면 송강리 행정마을에 있는 평해손씨의 재실이다. 마을회관앞에 자리하고 있으며 옛모습을 많이 잃은 모습이다. 청백재(淸白齋)라는 현판을 달고 있다. 행정마을에는 손순효의 신도비와 함께 무덤이 자리하고 있다. 평해손씨(平海孫氏)는 밀양손씨(密陽孫氏)·경주손씨(慶州孫氏)와 동원으로, 시조는 손순(孫順)이다. 손순의 손자 손익담(孫翼淡)은 평해군(平海君)에 봉해졌고, 손익담의 19세손인 손인량(孫仁亮)이 고려 원종 때 평장사로 임연(林衍)의 난을 평정하고 기성후(箕城候)에 봉해졌다. 기성은 평해의 옛 이름이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평해로 하였다. 평해손씨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손순효(孫舜孝)·손주(孫澍) 부자와 손필대(孫必大) 등을 들 수 있다. 문정공(文貞公) 손순효는 단종 때 문과, 세조 때 문과 중시에 급..
산척면 석천리에 위치하는 이약우 자선 송덕비의 모습이다. 비는 비좌개석의 형태로, 비주위에 쇠사슬을 둘러서 보호되고 있다. 비의 전면에는 이공약우자선송덕비(李公若雨慈善頌德碑)라고 적혀있으며 석문리민들에 의해서 세워졌다. 구비와 더불어 새로운 비석을 나란히 세워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