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상당산성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사인암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경주김씨
- 부도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선돌
- 효자문
- 보성오씨
- 사과과수원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 (83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양여공은 1378(우왕 4)∼1433(세종 13).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양여공의 묘소는 충주시 엄정면 신만리 (웃세고개)마을 입구 야산에 자리하고 있다. 신만리 (웃세고개)간판을 보며 진입하면 20여미터앞에 좌측으로 야산이 있다. 야산 앞에는 축사로 사용하던 건물이 퇴락된체 덤불속에 방치되여 있다. 야산입구에 산을 향해있는 작은 오솔길이 눈에 띤다. 양여공의 묘소는 이 오솔길을 따라 2~3분이면 도착할수 있다. 밑에 사진에서 전봇대뒤로 보이는 야산이다. 묘역은 약 20평 정도이며 상석과 문인석이 있으나 오래되어 풍화가 심하다. 봉분은 높이 180㎝, 밑변 길이가 620㎝이며 낮게 주저앉은 상태이다. 묘표석은 대리석으로 심하게 풍화되어 글자를 판독하기 어렵다. 봉분의 우측에 묘비가 있는데, 1435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둔대마을 입구에 개울을 사이로 두고 돌무더기가 있다. 숫탑과 암탑이 개울을 사이로 두고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찾는이 없이 탑고사도 끊긴지 오래되였고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멀어지는듯 하다 산척면 영덕리는 지역의 특성화사업으로 천등산고구마를 재배하고..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둔대마을은 산척면사무소 입구에서 도로 531호선을 따라 달랑고개를 넘은 다음, 1㎞ 지점의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군도 26호선을 따라가면 느릅재 쪽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여서 많은 군인들이 진을 치고 있었다고 하여 둔터, 진터로 불..
산척면 송강리에 위치하고 있는 단양장씨들의 재실인 월현재(月峴齋)이다. 시멘블럭으로 담장을 둘렀으며 현대식 골조건물로 신축한 건물이다. 월현재라는 현판을 달고있다. 주차장이 마련되여 있으며 단양장씨월현재(丹陽張氏月峴齋)라는 입석을 세워놓았다. 단양장씨(丹陽張氏)는 계..
산척면 송강리에 있는 단양우씨의 재실이다. 우천석,우팽의 묘지밑에 자리하고 있다.시멘트블럭으로 담을 두르고 있으며 쇠락해지고 있다. 가까운 행정마을에는 손순효의 묘와 신도비 그리고 재실인 청백재가 자리하고 있다. 단양 우씨(丹陽禹氏)는 중국 성씨의 하나이며, 중국 하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