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산성 선정비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효자문
- 보성오씨
- 부도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사인암
- 선돌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법주사
- 공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오블완
- 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효자각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 (83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석호 불망비는 풍덕마을입구 방풍림이 있는 제내리 306번지에 있다. 1906년에 방풍림을 조성하고 방풍림계를 창시한 이석호[1866~1922]의 기념비이다. 비문은 전면에 ‘방풍림창설계장 참봉이석호 영모불망비(防風林創設契長 參奉李錫浩 永慕不忘碑)’ 라 하고, 양옆에 ‘종수차허..
충청북도 충주시 지현동 대원사에 있는 고려 후기 철불좌상.충주 철불좌상은 충주시 지현동 587-12번지 충주공업고등학교(구 충주공업전문학교) 옆 노천에 방치되었는데,관아공원(구 중원군청) 내로 옮겨졌다가 1959년부터 대원사 앞뜰에 안치되었다고 한다. 오랜 세월 방치되어서 그런지 광배와 대좌, 두 손이 없어졌다. 대원사로 옮겨져서도 별도의 전각 없이 대웅전 앞 오른쪽 담장 옆에 안치되어 있다가 1982년 중원 문화권 개발사업의 하나로 충주시의 보조를 받아 대웅전 오른쪽에 단칸의 보호각을 짓고 봉안하게 되었다.보호각을 만들어 봉안하면서 두 손은 나무로 만들어 끼웠다.그러나 1994년에 대원사 화재로 보호각은 소실되었고 불상은 충주박물관으로 잠시 이전 관리되었다.1998년에 대원사 극락전을 새로 지은 후 다..
춫주시 지현동 대원사 경내에 있는 대원사창건주의 비석이다 ‘우암승현선사지비(愚岩勝鉉禪師之碑)’라 음각된 비석 뒷면에 1929년 9월에 김추월 선사( 金秋月 禪師)가 창건한 사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1929년 이후 포교당으로 운영되다가 충주 지역의 대표적인 사찰로 성장하였다. 1994년 화재로 대..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석불입상.1982년 당시 중원군 엄정면 율능리 노곡마을 안준영의 집 뒤편 산 밑에 있던 대형 석불로, 무릎 이하가 매몰되었고 왼쪽으로 약 10도 가량 기울어진 모습으로 발견되었다. 현재는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실로 옮겨와 전시되고 있다.머리 부분이 다소 손상되었으나 양감이 풍부하고 조각수법이 고격을 보이는 훌륭한 상이다. 머리 부분은 소발에 작은 육계가 있고, 이목구비는 마모되어 그 위치만을 파악할 수 있다.목 부분은 훼손되었으나 보수하지 않고 그대로 맞추어 놓았다. 목에는 삼도가 있고 당당한 어깨와 가슴 등에서 풍만함을 느낄 수 있다. 다만 오른쪽 어깨로부터 아래로 내려 흐르는 선이 대략 수직인 데 비해, 왼쪽 어깨는 비교..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석조 유물. [개설] 석조행렬도는 계명산 절터에서 수습된 석조유물이다. 조선시대 의궤(儀軌)로서 왕 행차 때 호위 대열 일부를 부조한 문화재로 판단된다. [형태 및 구성] 여섯 명의 인물상이 부조된 석조 유물로, 도끼[斧], 일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