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풍문화재단지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법주사
- 밀양박씨
- 오블완
- 단지주혈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효자문
- 상당산성
- 충주박물관
- 화양구곡
- 부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국립청주박물관
- 사인암
- 공산성 선정비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선돌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NfhQ/btsGsWV4LIq/NkAYcone2mbCknilwaW4A1/img.jpg)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에 있는 당간지주 입니다. 시간이 되면 일부러라도 발길을 하는 곳입니다. 당간지주도 보고 가까운 산막이길도 산책하고 시간여유가 된다면 갈론구곡까지 걸음을 합니다. 언제나 보아도 참 좋은 외사리 당간지주 입니다. 칠성면 외사리 당간지주(七星面 外沙里 幢竿支柱) (tistory.com) 칠성면 외사리 당간지주(七星面 外沙里 幢竿支柱) 칠성면 외사리 당간지주(七星面 外沙里 幢竿支柱) (tistory.com) 칠성면 외사리 당간지주(七星面 外沙里 幢竿支柱)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king6113.tistory.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Et9n/btsE1DDEn8T/9otnY4aBNu7Izg1yKtMngK/img.jpg)
산 좋고 물 맑은 우리 문광(文光)은 괴산군의 중앙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으로는 괴산읍이 인접하고 동쪽으로는 칠성면 서쪽으로는 청안면과 사리면 남으로는 청천면이 경계하고 있고 장자봉(莊子峯 585미터)과 배미산(倍嵋山 546미터)이 웅장하게 높이 솟아 있으며 달천강 지류인 성황천과 광덕천이 흐르고 있다. 고구려 장수왕 63년(475)에 잉근내군(仍斤內郡)에 영속된 이후 신라 경덕왕때 괴양군(槐壤郡)으로 고려초에 괴주군(槐州郡)으로 명칭이 바뀌었다가 조선왕조 태종13년(1413)에 괴산군으로 개명된 이후 1914년에 문광면 행정구역이 10개리(광덕,송평,문법,대명,유평,신기,양곡,방성,흑석,옥성)로 개편되어 5657ha의 면적을 갖고 있으며 문법리와 광덕리의 앞 글자를 따서 문광면이라 칭하였다. 이제 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l6SO/btsFBJDAdkv/mLH1InLd3NCvl7mzZlX3Nk/img.jpg)
조선시대 관아 건축물이다. 청안현의 동헌건문로 태종 5년(1405)에 지어졌다고 전한다. 그 후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쳤으며 지금 남아있는 건물은 19세기 후반의 것으로 보인다. 1915년에도 수리가 있었고, 한때 청안지서로 사용되어 변형이 있었으나 1981년 복원하였다. 앞면 6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의 옆선이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으로 홑처마에 공포를 짜지 않은 형태이다. 주춧돌은 다듬은 돌과 자연돌을 함께 사용하였고, 둥근 기둥에 일부 네모 기둥을 세우기도 하였다. 일반적인 조선 후기의 동헌 건물에 비하여 격식을 낮추어 지은 검소한 건물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6Oqx/btsFCAM4NH1/OI9jkLI7KrzfydR8vYTRpk/img.jpg)
청안 3·1독립운동에 참가한 주민들의 독립정신을 기리는 유적비. 3·1독립운동이 지방으로 확산되어가던 중인 3월 중순부터 청안에서도 만세시위가 계획되고 있었다. 청안의 이태갑, 김수백, 신강면 등은 3월 30일 오후 3시 반경, 청안 장날을 이용하여 장터에 모인 2,000여 군중을 선도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시작하였다. 군중들은 우편소와 경찰주재소를 습격하며 격렬한 시위를 전개하였다. 일제경찰은 주도자를 체포하여 청안경찰서 주재소로 연행하자 격분한 시위군중들은 주재소로 몰려가 체포된 이들의 석방을 요구하고 격렬하게 항의하였다. 사태가 위급해지자 일제 경찰은 충주에서 급파된 수비대와 함께 무차별 발포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1990년 1월 1일 괴산군에서는 3·1독립운동을 일으킨 청안 면민의 독립정신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Yfpf/btsEYQxjoaU/PzND6JW8puwd3lOZ5RVhsk/img.jpg)
문광면 광덕리에 있는 문광면 새마을복지회관 준공기념비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KH14/btsEYBNWifu/7w74PFfqt4jybnVKVwKmd0/img.jpg)
괴산군 문광면 광덕리 문광복지회관 앞에 자리하고 있는 충원인 안창익(安昌益)의 송덕비입니다.일제강점기 시절의 인물이며 마을의 발전과 이웃에 대한 구휼등에 앞장선 인물입니다. 송덕비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모에게 효를 다하고 어려운 이웃을 도와 덕을 높이한 사표가 있으니 안창익공이다. 공은 고려때 충원백(忠原伯) 모은(慕隱)치기의 21대 손이며 의영공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백부 화양공에게 양자로 입적 성장하였다.호를 송계라 하고 충원이 본이다.공은 타고난 성품이 어질고 학문을 깊이하여 지와 덕을 함께 하였다.효 또한 극진하여 생가와 양가의 부모를 한결같이 모셨으며 간병을 하루같이 하였으므로 하늘이 낸 효자라고 하였다. 가난한 이웃을 또한 크게 도왔으니 일제치하의 혹독한 공출로 아미동과 신촌의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