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선돌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각연사
- 법주사
- 충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각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효자문
- 단지주혈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사인암
- 사과과수원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증평군(曾坪郡) (17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증평읍 미암리에 있는 석조관음보살입상입니다.보살입상에 관한 많은 전설이 내려오고 있습니다. 민초들의 바램과 무속이 결부된 많은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미암리(彌岩里)는 본래 조선시대 때 청안현(淸安縣) 근서면(近西面) 지역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 기록에는 청안현 근서면에 29개리가 있었다. 그 중에서 현재의 미암리와 관련된 마을로는 시화상리(時化上里)ㆍ시화하리(時化下里)ㆍ단암상리(丹巖上里)ㆍ단암하리(丹巖下里)ㆍ선원리(仙院里)ㆍ미륵리(彌勒里)ㆍ평사리(平沙里)ㆍ서당리(書堂里)와 북면(北面)의 대자랑리(大自郞里) 등 9개리가 있었다. 그 뒤 미암리는 건양(建陽) 원년(1895)에 청안현(靑安縣)이 청안군(靑安郡)으로 승격되면서 청안군의 6개면인 읍내면(邑內面)ㆍ동면..
덕암마을의 다른 이름은 요골이다.덕암마을은 순흥안씨들의 고향이다. 덕암마을은 접시봉과 망재 사이의 광덕리에서 가장 중앙에 위치한 마을이다.마을의 서쪽으로는 구계마을이 북쪽으로는 천광 남쪽으로는 모산마을이 위치한다.천광에서 볼때 입구에 해당하고 덕암을 거치면서 논의..
노암2리 백암 뱀티라 불리우는 마을의 입구에 있는 곡산인 연민희의 효자비입니다.연민희는 그의 어머니 박씨가 전신불치로 사족을 사용하지 못하고 자신 스스로 음식을 먹지 못하며 대소변을 가리지 못했는데 70년을 한결같이 모든수발을 한 효심에 감탄한 청안현감이 표창을 내리고 비를 세우게 하였다고 한다.규모는 넒이 56 두께 27 높이는 254센티이다. 비석의 전면에는 효자곡산연공민희지비(孝子谷山延公民熙之碑)라고 적혀있으며 후면에는 연민희의 행적이 적혀있습니다.스테인 봉과 줄로 보호책을 두르고 있습니다. 노암2리(老岩二里) :뱀티/백암(白岩) : ‘뱀티’는 두타산에서 뻗어 내린 산등성이에 자리 잡은 산촌마을이다. 이 마을 동쪽에는 ‘둥구머리’가, 서쪽에는 증평읍 미암4리 ‘대지랭이’가, 남쪽에는 ‘진등’,‘행갈..
성도리에 위치한 새마을회관 입니다. 새마을회관 벽에 있는 새마을 회관 대지를 희사한 사람들의 이름과 함께 희사한 대지평수가 적혀있습니다. 머릿돌에는 새마을회관대지희사(새마을會館垈地喜捨) 연영흠(延英欽)35坪,연규집(延圭執)19坪,연기업(延基業)25坪 이라고 적혀있으며 머릿돌..
도안면 도당1리에 있는 부국사라고 불리우는 절이 있다. 가정집에 법당을 모셨다. 집을 들어서면서 안쪽에 자연석인 호박돌을 쌓아 법단을 만들고 그 위에 모셔 놓았다. 도안면지(道安面誌)에 소개되여 있어 겸사겸사 찾아 보았다. 여느 농촌처럼 견공들의 물음소리가 동네를 흔든다. 견공들의 소리에 마침 주인이신 스님이 문을 열고 반겨주신다. 불상을 보러왔다고 하니 혼쾌히 앞장 서서 안내를 해주신다. 도안면지에 소개되여 있는대로 옮기면 도당1구 금당서원 뒷편에 위치해 있는 대한불교 법화종 부국사 앞뜰에는 돌로 쌓은 단 위에 석조불상 한점이 놓여있다.부국사 주지는 이 불상을 괴산군 포동마을 산속 9부능선에서 가지고 온 것 이라고 하였다.이 절에서는 불사대감이라고 불리우고 있으며 불상앞에 촛불을 밣히며 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