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곡산연씨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사인암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한독의약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각
- 선돌
- 문의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각연사
- 부도
- 보성오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청원구(淸原區) (21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국가보훈처지정현충시설이다. 이 탑은 세계평화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월남전(1964-1973)에 참전한 내수읍 출신 참전전우들의 국위선양에 공헌한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하여 1997년 6월 16일에 건립한 조형물로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살신성인 하신 참전용사들의 정신을 기리..
청원구 내수읍 풍정리 양지말에 있는 보호수로 약 200여년의 수령을 지녔다. 청주보호수 제 146호로 지정 관리되고있다.
내수읍 덕암리 양달말에 있는 남근석이다. 동네초입에 서있다.양달말 남근석이라는 멋진 표지석위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일종의 기자석(祈子石)이다. 남자성인의 성기모양의 자연암석으로 풍년과 기자(祈子) 또는 마을의 안녕등을 기원하는 일종의 민감신앙이다. 남근석이란 남자의 ..
북이면 석화리 마을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석화리 유래비이다. 석화리는 면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선암리 서는 서당리 남은 내수읍 세교리, 북은 영하리에 접해있다.소반봉 남쪽에 발달한 마을로 본래 청주군 산외이면 지역이다.석화리는 마을의 앞쪽만이 남쪽으로 트이고 뒤의 양옆은 산이있다.마을 이름은 물이도는 곳(回串이라는 뜻으로 돌꼬지(石花)가 되였다.1914년 국대리 소롱리 대길리의 각일부와 산외삼면의 일부를 병합하고 석화리라 칭하고 북이면에 편입하였다.자연마을로는 돌꼬지가 있다.청원군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 약 470년의 은행나무가 있다. 경주이씨의 세거지이다. 돌꼬치는 석화리의 옛 명칭이다. 낭자곡의 북쪽 지역을 경계로 고구려와 백제가 대치하고 있던 시절, 그러니까 고구려로서는 장수왕, 백제로서는 문주왕이 ..
내수읍 구성리에 위치하고 있는 평양조씨의 사당이다.신화사(莘化祠)라는 현판을 걸고 있으며 사당경내에 신화사창건사적비(莘化祠創建事跡碑)가 자리하고있다.사당옆으로는 평양조씨와 관련이 있는 사람들의 묘비와 송덕비등이 자리하고 있다. 신화사는 신화동 북쪽산에 있는 사당으로 1993년에 완공되었다.신화사(莘化祠)라는 현판이 달린 사당이 10평이고 삼문이 2.5평이며 납골당이 10평이다.이 마을에 이거했던 시조공의 19대손 조후봉(趙後鳳)이하 시조공의 27대손 상 자(相 字) 항렬까지 모시는데 봉사일(奉祀日)은 매년 음력 10월 둘째 일요일이다. 평양 조씨의 시조는 조춘으로 고려 시대 금자광록대부 추밀원부사(金紫光祿大夫樞密院副使)를 지냈다. 당시 남송(南宋)에 들어가 금(金)나라를 정벌한 공로로 상장군(上將軍)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