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주김씨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효자각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사인암
- 문경새재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충북의 문화재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충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청원구(淸原區) (21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주에서 청주로 접어드는 길에 있는 고개이다. 말이 고개이지 지금은 어찌보면 그 어디에서도 고개의 흔적을 찾을수도 없다. 그나마 수름재라고 써있는 돌기둥만이 이 곳이 수름재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을뿐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잊혀지고있다. 수름재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주성..
죽계서원이 있는 용계리는 본래 청안군 서면의 지역인데 l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인정리, 모애리, 용담리와 석화리, 장포리, 아동, 죽계리, 신상리, 상월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룡담과 죽계의 이름에서 위, 아래자를 따서 룡계리라 하여 청주군 북이면에 편입하였다. 1954년 행정구..
효자 민영진 기적비가 자리하고 있는 源通里(원통이,원통)는 본래 청주군 북강내일면의 지역으로서, 원통사(源通寺)가 있었으므로 원통(源通) 또는 "원통이"라 하였는데, 1914年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태산리(台山里)와 내금 리(內金里), 수내리(藪內里), 평촌리(坪村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원통리(源通里)라 해서 북일면(현 내수읍)에 편입되였다. 원통리에는 驪興閔氏 保守公파 자손 藍察公파 12세손이 30호 거주하고 있다. 원통1리 마을버스정류소 맞은편에 민영진 기적비는 자리하고 있다.막돌로 쌓은 담을 두르고 있으며 기적비에는 효자문암여흥민공영진기적비(孝子文巖驪興閔公泳震紀蹟碑)라고 음기된 비석이 자리하고있다. 문암 민영진(1867-1936)은 자신의 모친인 평해황씨가 77세에 우연히 위중한 병에 걸려 생사..
학평리 양지바른 한쪽에 한말 항일의병장이였던 청암 한봉수선생의 묘소와 그의 영당이 자리하고 있다.지자체에서 잘 관리하고 있으며 주차장과 화장실등 편의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다. 청암 한봉수 선생은 일명 봉서(鳳瑞)·봉용(鳳用)·봉룡(鳳龍). 충청북도 청주 출신. 1907년 8월 의병장 김규환(金奎煥)을 만나 감화를 받은 것이 계기가 되어 의병에 가담하게 되었다. 청주 세교장(細橋場)에서 기의하여 4년 6개월 동안 33전 1패의 전과를 거둔 유격전의 명수였는데, 17세부터 명포수로 알려질 정도로 총의 명수이기도 하였다. 진천(鎭川) 문백리에서 일본군 헌병 중위 시마자키(島崎善治) 등 3명을 사살하고 그 무기를 노획한 것을 시초로, 약 30명 정도의 의병을 이끌고 게릴라전으로 미원(米院)·진천·괴산·횡성·장호..
마호곤 선생은 장흥인으로서 오창읍 탑리에서 1913년에 출생하였다. 뜻한바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지역사회의 교육발전을 위하여 물심양면으로 헌신하였다. 마호곤의 지역 교육계에 끼친 업적과 그의 후진을 향한 마음이 귀감이 되였기에 1988년 탑리에 비석을 세워 그의 뜻을 기린다. 비..
경암 마호성은 일제강점기때의 교육자이다. 선생은 장흥인으로서 일찌기 교육계에 투신 오창지역의 교육발전을 위하여 헌신하였다. 1944년 오창면 각리에 학교를 세울때 학교부지를 희사하였으며 경제적으로 부족헤 진학하지 못하는 지역의 아동들을 위하여 장학금등을 희사하는 등 오창지역 교육발전에 심혈을 기울였다.오창읍 탑리에 있는 교육자인 마호성 선생의 공적비이다. 이에 1984년에 선생의 학교를 거쳐간 문하생 일동들이 뜻을 모아 이 비석을 세웠다. 가까운 오창읍 농소리는 장흥마씨들의 집성촌이였으며 장흥마씨의 사당인 충정영당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