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효자각
- 보성오씨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화양구곡
- 공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각연사
- 충주박물관
- 법주사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공산성 선정비
- 효자문
- 선돌
- 사인암
- 밀양박씨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부도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청원구(淸原區) (21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소는 이덕수의 조부로서 묘비를 보면 유명조선국통훈대부무주현감증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사람이다. 묘지는 두개의 비석과 문인석 한쌍 그리고 상석과 낮은 향로석이 있다. 이소의 묘지는 내수읍 묵방리 한산이씨묘역에 자리하고 있다. 무덤을 바라보며 왼쪽비석에는 유명조선국통훈..
이홍연은 1604(선조 37)∼1683(숙종 9).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정백(靜伯)·이정(而靜), 호는 삼죽(三竹). 계(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濤)이고, 아버지는 대사간 덕수(德洙)이며, 어머니는 조씨(趙氏)로 수륜(守倫)의 딸이다. 조희일(趙希逸)·정홍명(鄭弘溟)의 문인이다. 1624년(인조 2) 생원시에 합격, 1636년 의금부도사로 임명되었으나 사퇴, 뒤에 세마(洗馬)를 거쳐 시직(侍直)으로 병자호란을 만나 왕세자를 모시고 남한산성에 호종하였다. 이듬해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사간이 되어 조의(朝議)를 뿌리치고 조석윤(趙錫胤)과 함께 김자점(金自點)을 탄핵하여 갑자기 귀양보내게 하였다. 효종 즉위 후 좌승지·황해감사·대사간·예조참의·병조참의·형조참의 등을 ..
이흥직은 조선 후기의 문신입니다. 충청북도 청원군 내수읍 묵방리 산9-1번지에 한산이씨 선조들의 묘와 함께 있다. 묘소 앞에는 혼백석과 상석, 향로석, 망주석, 문관석 등이 갖추어져 있다. 1779년(정조 3)에 이의현(李宜顯)이 짓고, 김진상(金鎭商)이 쓴 묘갈이 있습니다.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자안(子安)이다. 상당구 주성동 출신으로 주된 거주지는 서울이었다. 아버지는 관찰사와 도총관을 지낸 이홍연(李弘淵)이고, 할아버지는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자 신항서원(莘巷書院)의 원장을 지낸 이덕수(李德洙)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이며, 부인은 나주임씨이다. 동생으로 이기직(李基稷)과 이광직(李光稷)이 있다. 1650년(효종 1) 생원시에 급제하여 여러 군읍의 수령을 지냈으며, 관직이 남양도..
이덕수는 내수읍 묵방리 한산이씨들이 자리한 선산 맨 윗쪽에 자리하고 있는 조선시대전기의 문신이다. 묘비와 상석 망주석2점과 문인석2점이 자리하고 있다. 이덕수는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사로(師魯), 소자(小字)는 여숙(汝淑), 호는 이유당(怡愉堂)이다. 영의정 이유청(李惟淸)의 후손이며 이도(李濤)의 아들로 일족인 현감 이준(李浚)에게 입양되었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선대로부터 청주 북일면 상당산(上黨山)[419m] 아래에 우거(寓居)하였다. 한산인 이덕수의 묘역은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묵방리 뒤 구룡산(九龍山)[163.6m] 노적봉에 있다. 1606년(선조 39) 진사(進士)가 되고 1608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가 검열(檢閱)이 되었다가 저작(著作)..
내수읍 덕암리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정문에서 좌측으로 보면 마이컵과 일미닭갈비 사이로 소로가 있다.이창렬혜정비(李昌烈惠情碑)는 이 소로길을 따라 가면 만나는 인가(人家) 좌측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비석은 파손의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비석에 새겨진 글씨의 정도가 마모되여있다.비석의 전면에는 이창렬혜정비(李昌烈惠情碑)라고 음각되여 있으며 좌우에 작은글씨로 이창렬의 혜정내역을 기술하여 놓았다. 이창렬은 고성인(固城人)으로 원래의 비석위치는 이 곳이 아닌 고성이씨 선산에 있었다고 한다.비석은 후손들에 의하여 선산에서 이 곳으로 이건 된것으로 파악된다. 일제강점기 시절 동리주민들에게 금전적으로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은 이창렬의 은혜와 정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다 비석의 건립년대는 을축년(乙丑年 1925년)으로 비석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