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산성 선정비
- 효자문
- 단지주혈
- 법주사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도
- 밀양박씨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오블완
- 선돌
- 효자각
- 공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구곡
- 사인암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청원구(淸原區) (21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내수읍 비중리 국계서원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초게인 변영설의 모현비입니다.비석의 전면에는 박사모헌변공영설모현비(博士慕軒卞公榮卨慕賢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뒷면과 죄우면으로는 행적이 적혀 있습니다.변영설(1883-1967)의 송공비로 1977년 비중리 국계서원안에 건립되였으며 비문은 성균관전교 월성 이규필이 짓고 글씨는 성균관전교 상산 연규복이 썼다, 변영설(卞榮卨)은(1883~1967)은 초계인(草溪人)으로서 초명(初名)은 영우(榮祐)요 자(字)는 명보(命寶)이며 호(號)는 모헌(募軒)이다.고종8년(1871년)흥성대원군이 서원을 훼철하자 1960년 변영설이 사론(사론)과 배형(배형)4선생의 후손들의 도움을 얻어 비중리 행정에 국계서원(菊溪書院)을 복설(復設)하였다. 향사(享祀)의 영구책(永久策)을 강구하던..
내수읍 비중리에 있는 조봉대부(朝奉大夫)와 경릉참봉(敬陵參奉)을 지낸 변박(卞搏)의 묘지입니다. 무덤은 호석을 두르고 있으며 망주석과 상석이 있고 비석이 세워져 있습니다. 묘지는 후손들에 의하여 잘 관리되고 있습니다. 무덤의 밑에는 행정사(杏亭祠)라는 신축된 사당이 있는데 ..
내수읍 비중리 일광삼존불 하단에 자리한 바위군락중에 한곳에 있는 성혈이 새겨진 바위이다. 크고 작은 성혈들이 많이 새겨져 있습니다. 성혈(性穴)은 바위그림의 한 종류로 돌의 표면에 파여져 있는 구멍을 말한다. 성혈은 주로 고인돌[支石墓]의 덮개돌[上石]이나 자연 암반에 새겨진..
내수면 비상리에 위치하고 있는 국계사(菊溪祠)입니다.지금의 서원은 1960년에 중건하고, 1972년에 중수한 건물로 정면 4간, 측면 1간반 홑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내부는 마루방에 쌍문을 달고 앞마루는 놓았으며, "국계사(菊溪祠)"라는 편액을 걸었고, 앞에는 "사현문(四賢門..
내수읍 비상리 마을입구에 있는 국계서원(菊溪書院)입니다. 국게서원(菊溪書院)이라는 현판을 달고 있으며 한쪽에는 모현재(慕賢齋)라는 현판도 걸려 있습니다. 국계서원은 조선 숙종27년(1701)에 청원군 북일면 국동리 국동마을에 교리 눌재 박증영(1466∼1467), 백음 변경복(1538∼1629), 관찰..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비중리(飛中里)에 있는 안정나씨의 사당으로 1972년에 세웠다. 나천서(羅天瑞), 나사종(羅嗣宗), 나식(羅湜), 나숙(羅淑), 나만갑(羅萬甲), 나양좌(羅良佐) 등 6인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하기 위한 사당으로 1972년에 세웠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1987년에 보수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이다. 내부는 통간 마루방에 3개의 쌍문을 달고 앞마루를 놓았으며, ‘홍양사(鴻陽祠)’라는 현판을 걸었다. 그 앞에 솟을삼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사당 앞에는 1987년에 세운 묘정비가 있다. 안정나씨삼세충효비(안정나씨삼세충효비)라 하여 묘정비와 나란히 어깨를 하고 있습니다 충신문과 함께 삼효려도 사당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모충당(慕忠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