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효자문
- 선돌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청풍문화재단지
- 문의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오블완
- 법주사
- 밀양박씨
- 상당산성
- 충북의 문화재
- 각연사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부도
- 문경새재
- 한독의약박물관
- 사인암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화양동 암각자
- 공주박물관
- 곡산연씨
- 국립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부여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383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동화사 대웅전 앞에 놓여 있는 석탐으로 3층의 옥개석과 기단갑석(基壇甲石)만이 남아 있다. 기단갑석은 1매의 석재로 이루어졌는데 아래에 부연(副樣)이 조출되어 있을 뿐 특별한 문양은 없다. 각층의 옥개석은 낙수면이 완만하고 약간의 반전(辰轉)이 보인다. 층급받침은 1층이 4단, 2 3..
연충수(延忠秀) (1545~1621) 자(字)는 성백(誠伯), 본관(本貫)은 곡산(谷山), 곡산(谷山)부원군(府院君) 연사종(延嗣宗) 후손(後孫)이다.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門下)에서 수학(受學)하고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으며 효우(孝友)가 돈독(敦篤)하고 신의(信義)가 두터워 향리(鄕里)에서 칭송(..
본관은 우봉(牛峯). 자는 계량(季亮), 호는 화천(華泉). 할아버지는 이재(李縡)이며, 아버지는 대사간 이제원(李濟遠)이다. 1774년(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이듬해 휘령전(徽寧殿) 참봉에 제수되었다. 그 뒤 사헌부·호조·형조의 벼슬을 거쳐 돈녕부주부를 지냈다. 음죽현..
원래 현재의 충혼탑이 있는 자리가 사직단이 있었던 자리라고 한다. 조선 시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인 사직단은 현재 흔적이 남아있지 않다. 대신 천지신단(天地神檀)이라는 비석이 일제에 의해서 세워져 있다. 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사직단을 없애며 민심의 동요를 방지하기위하여 세운 비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천지신단이라는 비석이 세워진곳이 청주에 두어군데 있다. 지금은 없어진 용정동 천지신단과 발산공원에 있는 천지신단비이다. 원래 이 곳에 있던 일제에 의하여 세워진 비석은 현재 충북대 박물관 야외박물관에 있으며 지금 세워진 비석은 그 후에 새로 세원진 모조품입니다. 이 또한 일제의 잔재라하여 철거되었습니다.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과 개신동의 경계를 이루는 산. [..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에 있는 향교. [개설] 최초 창건은 고려 때인 987년(고종 6)에 양성산 아래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 태조 때 교육제도가 정비되면서 전국의 각 지방에 향교가 설치될 무렵 재정비되면서 규모를 새롭게 하였다. [제향인물] 다른 향교와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