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곡산연씨
- 충주박물관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사인암
- 공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문경새재
- 부도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각연사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선돌
- 효자각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12 (5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gwbB/btrlgTuFSj7/SAwdv0DF1qQ0xIhquV1kXk/img.jpg)
이홍복은 서계 이득윤의 아들이다. 이득윤의 묘소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米院面) 가양리(佳陽里)인경산(引頸山) 아래에 있는데, 이경석(李景奭)이 지은 묘갈명이 남아있다. 청주의 신항서원과 청안(淸安)의 구계서원(龜溪書院)에 제향되었다.[ 행장은 두 가지가 있는데, 제자인 승지변시익이 쓴 행장이 『서계집』에 실려 있고,[『서계집』 권4 부록] 아들 이홍유가 쓴 행장이 『둔헌집』에 실려 있다.[『둔헌집』 권1] 두 행장은 서술 방법이 다르고, 내용에서도 조금 차이가 난다. 첫째 부인 파평 윤씨(坡平尹氏)는 창신 교위(彰信校尉)윤환(尹渙)의 딸이고, 둘째 부인 옥구 장씨(沃溝張氏)는 습독관(習讀官)장징(張徵)의 딸이다. 파평 윤씨는 1남 2녀를 낳았는데, 아들은 일찍 죽었고, 딸은 각각 사인(士人)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7Fj3/btrmLAlfzjN/01grSDHj1BluWKTeRmegIK/img.jpg)
일제강점기인 소화14(1939년) 큰 흉년이 들었을 때 이 곳 지역의 주민들을 위하여 도조감세및 구제미등을 풀고 또한 일을 만들어 댓가로 식량을 제공하는 등 많은 구제사업을 벌인 김원근선생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하여 이 지역 주민들의 이름으로 비석을 세웠습니다. 김원근의 구휼비는 가덕면 병암리 미원면 미원리등에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흉년이 들었던 당시 남일면 뿐 아니라 가덕면 미원면 까지도 많은 구제활동을 하였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nEzq/btrm2ppKcUU/4DfzsUjLuVssJC0NCUaQNk/img.jpg)
청천면 송면리 선유계곡 입구에 있는 상주인 해사 박종섭의 공적비입니다. 비석은 1977년 정사년에 송면지역주민들에 의하여 세워졌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해사박선생종섭공적비(海史朴先生宗燮功蹟碑)라고 새겨져 있으며 좌우,후면에는 박종섭의 공적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부모에게 단지주혈을 하는 등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송면일대의 간이학당등을 세워 교육여건을 확실히 히였으며 송면간이학교와 더불어 송면국민학교와 중학교등 학교설립에 물심양면으로 힘써 육영사업에 힘쓰고 교육자로서의 주민들을 위하는 일에 앞장섰으므로 지역주민들이 뜻을 모아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비석을 세웠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Cyza/btrmK05wyMQ/Zisg7DZIQCr99RJDOQSKq1/img.jpg)
연안이씨 열부비는 2015년 4월 17일 청주시 향토유적 제28호로 지정된 이 비석은 1934년 고령인(高靈人) 신긍호(申兢浩)의 처 연안 이씨(延安李氏)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열부비이다. 충남 아산에 사는 이종영의 딸인 연안 이씨는 신긍호와 결혼하여 남편의 병이 위중하자 극진히 간호하였고, 시부모님을 정성껏 모신 효부이기도 하다 가덕면 계산리 마을 입구에 있습니다. 비각안에 비석에는 열부신긍호처유인연안이씨지비(㤠婦申兢浩妻孺人延安李氏之碑)라고 적힌 열부비가 서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KbCb/btrmQ3Oig2U/fFFN64p75yKTQfapAWVOP0/img.jpg)
가덕면 인차리에 위치하고 있는 예관 신규식선생의 생가입니다.이 곳은 예관 신규식 선생의 생가 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사실조차도 모르면서 조카들 이름으로 해 놓은 표식이 있습니다. 신형호(1891년 생)는 예관 신규식 선생의 장조카 이며 1912년 예관 선생과 중국 손문의 도움을 받아서 미국으로 망명한 도산 안창호 등과 독립투쟁을 하였고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받았다. 신규식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에 크게 기여한 독립운동가입니다. 구한말 계몽운동을 펼치던 중 1905년 을사오조약을 강제 당하자, 이에 분개하여 자결을 기도, 그 여파로 오른쪽 눈을 실명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자, 상해로 망명, 중국의 신해혁명에 참가하여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될 수 있는 기반을 구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NlNh/btrmFpeDFPe/F8xXXBvluMx7Vda0Ly6euk/img.jpg)
가덕면 말미장터에 있는 계산리오층석탑도 둘러보고 가까이 있는 신형호고가도 둘러보려고 가는데 그 동안 보이지 않던 비석이 한기 보인다. 이 곳을 그리 많이 다니면서도 이제사 눈에 보인다. 가까이 가서 비석을 확인하니 대한제국시절 문의 군수를 지낸 서병익의 선정비이다. 서병익의 선정비는 현도면과 문의면 두모리 그리고 부강면사무소내에도 서있다. 군수서후병익선정비(郡守徐侯丙益善政碑)라고 각자 되어있다. 이끼등으로 글자를 알아보기가 힘들지만 판독에는 어려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