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티스토리챌린지
- 경주김씨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법주사
- 효자각
- 곡산연씨
- 국립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부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한독의약박물관
- 보성오씨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사인암
- 선돌
- 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공산성 선정비
- 상당산성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2022/11 (6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swI6/btrPukQicJ4/lkjKmPmyNanbNkW7lUKGv0/img.jpg)
초평면 연담리에 위치한 근간인 2017년도에 세운 나주인 김영돈의 공적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나주김공영돈족망공적비(羅州金公永敦族望功蹟碑)라고 각자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김영돈의 공적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가문의 묘원등을 정리하고 가꿀때 많은 물질적인 배려와 종중일에 깊이 개입하여 가문을 빛낸 공적을 기리는비석입니다. 반탄마을에서 조금 내려오다 우측 야산기슭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YC4j/btrPvxauKkE/7jMfAvizHY2OXWmhOIKBwk/img.jpg)
초평면 화산리 한반도지형 전망대 오르는 마을끝에 있는 상산인 임동형의 추모비입니다.비석에 각자된 임동형의 내력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의 이름은 동형(東螢)이요 자는 춘서(春瑞)이며 호는 매당(梅堂)이다. 공은 단기4236년(서기 1903년)에 문백 구곡에서 출생하였으며 어린시절부터 기질이 강직하고 재능이 탁월하였으며 또한 효성이 지극하고 우애가 두터웠다. 일제강점기 시절 조국의 아픔에 분개하여 임천에 은거하며 후진양성에 심혈을 기울여 많은 인재를 양성 배출하였습니다.향리의 발전과 문하생 양성에 힘쓰다 향년 80세에 졸하니 공의 부고를 듣고 원근에서 많은 사림들이 통곡하였다.묘는 화산리 두타산 죽림봉에 있으며 비석은 단기 4324년(서기1991년) 문하생일동의 이름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전문위원으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NvUr/btrPymzmkxv/J3MRDCL2MaH89sIbKkn3d1/img.jpg)
초평면 화산리 붕어마을에서 한반도 전망대를 오르는 마을 끝에 서있는 돌탑입니다. 돌탑은 일종의 액막이 개념으로 마을의 안정과 마을주민의 복을 빌어주는 역할을 원하는 개념으로 세웁니다. 돌탑은 마을로 들어오는 액이나 질병, 살(煞), 호환(虎患), 화기(火氣) 등을 막기 위해 쌓은 신앙 대상물이다. 하지만 마을 앞의 허한 방위를 막기 위해서나 특정한 모양의 지형을 보완하기 위해 쌓은 단순 비보물(裨補物)이기도 하다. 다른 신앙 대상물에 비해 풍수적인 비보(裨補)신앙의 모습을 가장 강하게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갯마루나 사찰입구에 지나가는 길손이 마구잡이로 던져 놓은 잡석의 서낭당이나 개인이 신을 향한 구도의 마음으로 쌓은 돌탑과는 구별된다. 주민들의 소망과 정성이 모아진 비교적 정교한 마을신앙 대상물이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bbAS/btrQp55Ulni/QE52iaSWGWObF4ATpDqnvK/img.jpg)
조물주가 나에게 당신의 정해진 시간은 한달입니다 하면 나는 무엇이 하고 싶을까? 많이 바쁜척을 할까? 아니면 아무것도 하지 않을까? 시간이 정해진다면 매일 매일 가슴속 생겨나는 걱정거리는 생기지 않을까. 또 다른 세상을 인지하고 준비라도 할까. 다가오지도 않은 걱정을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자판을 두드리는 지금도 정해진 시간은 시게바늘을 따라 돌고 있다. 정해진 시간이 마름하는 날 적은 후회로 이 세상을 내려다 볼수 있도록 많이 사랑하고 많이 생각해야겠다. 내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사랑한다 고맙다 미안하다 라는.... 그것이 정해진 시간을 사는 나만의 행복 방법일게다. 내가 지금 생각하며 얻고자 하는 세상의 것들이 부질없음을 느끼고 후회할 때 그 때가 정해진 시간이 마름하는 날일게다. 행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75eY/btrQrsS5UI2/XOIj9CAsLzEErFBSNGhAFk/img.jpg)
너만 있어도 걱정거리가 줄어든다. 끼니 때마다 뭘 먹을까 하는 걱정 그 걱정 붙들어 매고 하루종일 행복할수 있다. 아니 더 긴 시간도 행복할수 있다. 그 행복을 도와주는 멋진 친구들도 있다. 잘게 썰은 파와 후춧가루 약간의 간을 맞추는 소금 그리고 따뜻한 밥. 금상첨화라면 알싸한 파김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9xIC/btrPJWGxbc6/H3aCC71rzjkpu80M9WCISK/img.jpg)
초평면은 진천군 7개 읍면의 하나 본래 진천군의 지역으로서 초평면이라 하여 통동, 이곡, 금한, 수문, 양촌, 지전, 선남, 신평, 상영, 하영, 농촌, 부창, 매산, 죽정, 수문, 구성, 어은, 삼봉, 봉암, 용동, 삼선, 상동, 죽현, 생암, 봉촌, 소도평, 하리, 서암상리, 화암하리, 사산, 생입, 삼티의 31개리를 관할하였습니다.그러던 중 1914년 군민폐합에 따라 산정면의 삼대, 기지, 두상의 3개리와 문방면의 오갑리를 편입하는 동시에 삼치리는 음성군 원남면에 넘겨주고 화산, 굴곡, 용정, 영구, 신통의 5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30년 3월 1일덕산면의 오갑리와 문백면의 연담리와 청원군의 북이면의 은암, 진암, 용기, 용산의 4개리를 편입하여 11개리가 되었습니다.1983년 2월 15일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