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양동 암각자
- 밀양박씨
- 사인암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오블완
- 법주사
- 사과과수원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화양구곡
- 효자문
- 선돌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단지주혈
- 부여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문의문화재단지
- 부도
- 국립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Today
- Total
목록2025/03 (7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문백면 사양6길 15-6에 위치한 사양영당은 고려 명종 때 청백리로 이름이 높았던 이공승李公升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이다. 1726년영조 2에 처음 건립됐으며 현재의 건물은 1971년에 보수했다. 사당 본전과 외삼문과 재실을 갖추고 있으며 입구의 홍살문 오른쪽 및 사당 오른쪽에 여러 개의 청주 이씨 비석들이 있다. 이공승1099-1183의 본관은 청주로 청주에서 태어났다. 공과 사가 분명해 첫째가 공이요, 둘째가 개인 일이라는 생각으로 평생을 살았다고 한다.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했으며 1148년의종 2 39세에 전중시어사로 금나라에 다녀온 이후 동지추밀원사, 이부상서 등을 거쳐 참지정시를 역임했다. 그는 중국의 사신으로 갔다가 받은 크고 작은 선물을 모두 물리쳐 청렴한 인물로 정평이 나있다. 당시 사..

대전시 동구 직동 찬샘마을 마을회관얖에 자리하고 있는 기념비입니다.이 곳에 거주 하시는 분들중에 100세가 넘으신 어르신들의 장수를 기념하기 위하여 마을 회관 앞에 세운 장수기념비입니다. 마을주민들의 이름으로 매년 어버이날을 맞이하여 100세가 넘으신 어르신들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비를 세우고 있습니다.현재는 세분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류귀형,유수,유신신 할머니의 탄신 100주년 기념비가 세워져 있습니다.어른들을 위하는 마을주민들의 마음이 비석이 되어 동네를 지키고 있습니다.
상봉고개는 것대산 봉수대 입구에 해당하는 해발 300m의 고개이다. 청주성(淸州城)이 이인좌(李麟左) 일당에게 유린당할 때, 군관(軍官) 홍림(洪霖)은 그의 첩 해월에게 유복자를 부탁하고 전사한다. 해월은 아들을 순산하고 홍림의 유지를 따른다. 청주 영기(營妓)에 속해 있던 관기, 해월은 영장(營將) 남연년(南延年)의 주선으로 홍림의 애첩이 되었다. 당시 홍림은 노모를 모시고 있었는데, 그 효행이 지극하여 모든 사람들로부터 효자 라는 칭송을 받았다. 그러나 슬하에 혈육이 없어 노모는 항상 그것을 염려하였다. 그런데 마침 해월이 잉태를 하였고, 홍림과 노모는 하루 속히 해월이 해산하기만을 고대하였다. 상당산성과 이인좌와 이봉상. 상당산성과 이인좌와 이봉상.[이봉상,남연년,홍림 의 위패가 있는 표충사..

대전시 동구 찬샘마을 마을회관 화단에 자리하고 있는 이 곳 출신 국립한밭대학교초대총장을 지낸 강용식선생의 송덕비입니다. 강용식 선생은 이 곳 출신으로 마을의 지역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그리고 어머니인 김임순여사에 대한 효를 다한 강용식선생의 송덕을 기리기 위해 마을주민들의 이름으로 송덕비를 세웠습니다.

대소원면 대소리 구 도로에 있는 참전용사유공비인 현충시설입니다.이 기념탑은 육이오 전쟁과 월만전에 참전한 이류면 출신 참전유공자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념하기 위한 현충시설입니다.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대소리에 있는 대소원면 출신 독립유공자들을 기리는 비. 대소원면 출신 독립운동가 유자명·서정기·이일신의 숭고한 독립 정신을 기리고, 후손들에게 나라 사랑 정신을 고취시키고자 2002년 이류지역발전협의회에서 이류면[현 대소원면] 독립유공자 추모비를 건립하기로 의결하고, 당시 충주시장 이시종에게 건의, 내락을 받고, 학계의 연구와 검증을 거쳐 2005년 3월 1일 준공하였다. 대소원면 대소리를 관통하는 구 지방도 34호선 끝자락의 산모롱이에 위치하고 있다. 비의 형태는 전통적 양식을 탈피한 현대식 건축 양식이며, 삼각의 기본형을 바탕으로, 앞면에 기둥을 세우고 뒤쪽으로 화강암 벽을 세운 다음 각각의 공적과 추모 글을 새겨놓았다. 추모비 앞에는 별도로 추모하는 글을 새겨놓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