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한독의약박물관
- 경주김씨
- 사인암
- 단지주혈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오블완
- 효자각
- 효자문
- 상당산성
- 각연사
- 부여박물관
- 선돌
- 사과과수원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83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미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충주시 엄정면 용산리와 원곡천을 사이에 두고 미내리 미실마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낮은 야산을 배경으로 북향으로 있다. 중원 윤민걸 가옥은 1865년(고종 2) 병마절제도위, 연길현 감도청부도사, 사헌부감찰을 지낸 ..
노은면 문성1리에 위치한 김해김씨들의 사당인 화곡재 입니다 문성리에 대성이였던 김해김씨들의 시제등을 지낸다고 한다. 매년 음력 10월 15일에 향사를 한다. 정면 4칸 측면2칸의 팔작집으로 화곡재(華谷齋)라는 편액이 정면에 걸려있다. 많은 사당들의 당면 과제이지만 돌보는이 없고 ..
1527(중종 22)∼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묘소는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 마을입구에 신도비와 함께 자리하고있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경임(景任), 호는 학암(鶴巖). 순행(順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희저(希渚)이고, 아버지는 감찰 용량(用良)이고, 어머니는 권련(權戀)의 딸..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문이다. 1716년(숙종 42)에 명정(命旌)된 문화인 유충건(柳忠健)과 아들 유시량(柳時亮), 손자 유송제(柳松齊)의 3대에 걸친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문이다. 유충건은 유몽정(柳夢鼎)의 손자로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했으며, 광..
안락리 마을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유몽정의 신도비이다. 유몽정은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문신이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경임(景任), 호는 학암(鶴巖). 유관(柳寬)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사헌부감찰을 지낸 유용량(柳用良)이고, 어머니는 안동인 권련의 딸이다. 1567년(명종 22..
충경사가 있는 가신리는 가정(佳亭)과 신흥동(新興洞)의 첫 자를 따서 가신동(街新洞)이라 하였다.가정천(佳亭川)과 신흥천(新興川)을 따라 농사짓기에 편리한 산골짜기에 형성된 마을로,조선 중기 이전에 주민들이 들어와서 생활의 터전을 잡았을 것으로 여겨진다.가신2리에 장수황씨, 가신1리에 풍산홍씨·계계유씨 그리고 신흥동에 청주한씨가 누대에 걸쳐 세거하였다.가정마을 앞에는 넓은 공수들이 펼쳐져 예전에는 여기서 세곡(稅穀)을 거두기도 하였다. 충경사는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에 있는 조선 중기 사당이다.조선 왕조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공신들의 충절을 높이 사 이들의 관직을 추증하면서 시호를 내리고 사당을 짓도록 하였다.더욱이 가문 의식의 형성으로 존조경종(尊祖敬宗)이 강화되어 사당을 건립하여 조상을 제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