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효자문
- 부도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효자각
- 문의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선돌
- 법주사
- 단지주혈
- 공산성 선정비
- 사과과수원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구곡
- 상당산성
- 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밀양박씨
- 각연사
- 곡산연씨
- 문경새재
- 청풍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사인암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83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강수(?~ 692?). 신라 중기의 유학자, 문장가. 이름은 우두(牛頭). 머리 뒷쪽의 뼈가 뿔처럼 솟아 있었다고 한다. 글자 그대로, 소대가리. 강수란 이름 역시 우두를 총애하던 무열왕이 머리뼈의 모양을 보고 '강수선생'이라 부른 데서 비롯됐다. 스스로 글을 깨우쳐 읽었으며, 당시 신라에서 가..
충주시 엄정면 원곡리 하일마을앞에 위치한 당집인 천제단의 위패로 옥황상제 태상노군 북두칠성 삼존위를 모신다. 하일마을의 당고사는 음력 정월 14일에 거행되는데 최근 당집을 새로 복원하고 신위는 화강암으로 만들어 교체하였다. 하일마을은 한반도를 닮은 마을자랑비를 세운 것..
노은면 수룡1리에서 신효리쪽으로 길을 가다 오른쪽 너른논을 바라보면 논둑에 커다란 비석이 1기 보인다.이 선정비는 원래 현재 이 곳이 경지정리 되기전서 부터 이 곳에 있었다고 한다.경지정리가 되기전에도 논둑길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한다.선정비등은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곳에 세우는 것이 일상인것으로 보면 이 곳은 사람들의 왕래가 많았던 길인것으로 추정된다.비석이 있는 노은은 그 명칭의 발단은 이러하다.1630년경 영조 때에 청안현감을 지낸 정경연(鄭慶演)[1604~1666]이 산림이 우거진 이 땅에 들어와 외부와의 접촉을 피한 채 노모를 봉양하며 은거하였다. 이에 사람들은 정경연이 살던 곳을 노은고개[老隱峴], 또는 논고개[老峴]라 불렀는데, 이것이 유래가 되어 면의 이름도 노은현면(老隱峴面) 또는 노은면(老..
이국헌은 조선 숙종 때인 1689년(숙종 15년) 윤 3월 9일부터 1690년(숙종 16년) 9월 11일까지 충주목사를 지냈다. 이국헌청덕애민선정비는 충주지역에 3-4군데 산재되여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선정비는 충주시 신니면 학성마을 입구에 동네자랑비와 함께 세워져 있다. 목사이후국헌청덕애민선..
충주목사를 지낸 이국헌의 마애선정비이다 충주를 지나간 관리들의 많은 선정비를 보았지만 마애비로 선정비를 새긴경우는 드물다 수안보면 수회리에 마당바위에 서유돈불망비가 마애비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와 비해 이국헌의 마애비는 많은분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이국헌(李國憲)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숙(文叔)이다. 부친은 이여연(李汝淵)이다. 1660년(현종 1) 증광시(增廣試)에 생원 3등 45위로 입격하였다. 1676년(숙종 2) 호조정랑(戶曹正郞), 문의현령(文義縣令), 부사과(副司果), 이듬해 금산군수(錦山郡守)를 역임했다. 1683년(숙종 9) 부사직(副司直), 1684년 밀양부사(密陽府使), 상의첨정(尙衣僉正), 무주부사(茂朱府使), 1685년 남양부사(南陽府使), 1687년 훈련주부(訓鍊主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