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선돌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문의문화재단지
- 각연사
- 효자문
- 법주사
- 오블완
- 공산성 선정비
- 충주박물관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공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효자각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화양구곡
- 곡산연씨
- 부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보성오씨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옥천군(沃川郡) (45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Gamt/btrgC6KD9Ad/iDsuWRpy0P1EbhDUSuiC50/img.jpg)
조헌선생의 유상지석이 위치한 곳은 망기대(望氣臺)라고 불리우는 곳으로 옛 용촌초등학교 북편에 중봉 조헌이 하늘의 천기를 보던 유상지석(遊賞之石)을 말하며 이칭(異稱)으로는 관천석(觀天石) 이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안내면 용촌리는 산촌마을로 의병장 조헌 이 임진왜란 때 후율정사를 짓고 호국의 의지를 닦던 유서 깊은 마을이다. 안내면에서 북서부에 위치한다. 동쪽은 월외리, 남쪽은 도율리와 답양리, 서쪽은 보은군 회남면 은운리, 북쪽은 보은군 회남면 노성리와 인접한다. 가산천이 북쪽에서 새터말, 용수말, 솔맥이를 거쳐 서쪽 답양리로 흐른다. 용촌리는 조선 후기 『여지도서』에 의하면 가산리佳山里에 속하였던 마을 이다. 1830년대 『옥천읍지』에서는 옥천 관문에서 35리 떨어져 있다고 기록 하였고, 1891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pqQo/btrfUQCHk8s/BH6ZA0xvnsPDPbOvcKpWr0/img.jpg)
청성면 도장리 마장골에 있는 옥천인 육항의 단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통의대부행공주목사옥천육공항지단(通議大夫行公州牧使沃川陸公沆之壇)이라고 적혀있으며 무덤과 석물은 후대에 후보되었습니다. 육항은 목사공파로서 고려시대에 공주목사를 지낸 인물입니다.서해도안렴사(西海道按廉使)를 역임하였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OacB/btrfUOrIvtF/I25RMdl4nKKh0mn1nXYX8K/img.jpg)
청성면 도장리 마장부락에 있는 옥천인 육항의 신도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통의대부행공주목사옥천육공항지신도비(通議大夫行公州牧使沃川 陸公沆之神道碑)라고 적혀있습니다. 신도비 뒷쪽으로는 옥천육씨 목사공파의 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육항은 고려시대 공양왕 때 공주목사를 거쳐 서해도안렴사(西海道按廉使)를 역임하였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dqk0/btrgVOptYHU/cGkko4l2K1gSbZ5GuOzlZ1/img.jpg)
동이면 금암3리 용곡에 있는 돌탑입니다. 원추형으로 돌려 쌓았으며 가운데는 괴석이 놓여있습니다. 마을의 안녕과 함께 병이나 여러가지 해(害)가 되는것으로 부터 마을을 보호하기 위함 같습니다. 마을 앞 공터를 포장하며 위치가 이동 된 듯 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XsyF/btrgV91f80B/uoJX0GXIPkHCPt7QcIkEMK/img.jpg)
동이면 금암리에 있는 옥천전씨세거지비와 함께 있는 인봉 전승업선생의 추모비입니다. 전승업(全承業, 1547 명종 2~1596 선조 29)은 조선 중기의 유학자이며 의병활동을 하였다. 옥천전씨는 옥천의 유력한 성씨 중 하나로 고려 말부터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전숙全淑이 판도판서로 있다가 고려가 망하자 동이면東 二面 적하리(赤下里, 지시래)에 은거하면서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였다. 전팽령의 손자인 전승업은 임진왜란 때에 금산에서 장렬히 최후를 마친 열사 700명들의 무덤을 만들어 주고 중봉 조헌의 시신을 수습한 인물이다. 전승업의 자는 효선孝先이고, 호는 우재愚齋인데 만년에는 인봉仁峰으로 불렸다. 본관은 옥천이며, 선산곽씨 모친 하에 1547년(명종 2) 동이면 적하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본디 과거를 보는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V3Lp/btrgC5E0RzL/LTtTjcHYaodf1D7FjzK8v1/img.jpg)
안내면 답양리에 위치한 가산사의 입구에 있는 돌탑입니다. 주위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쌓아 놓았습니다. 풍수 지리적으로는 마을의 수구막이, 비보(裨補)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탑의 명칭은 탑, 조탑, 조산, 돌산, 토담, 수구막이, 거리제, 거리제 잡숫는 탑, 거리제 탑, 거리탑, 독닥거리, 정탑 등으로 불리는데, 각 지역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성(性)[할아버지 탑, 할머니 탑, 남자 탑, 여자 탑, 내외 탑], 위치[바깥 탑, 안탑], 규모[큰탑, 작은 탑] 등에 따라 불리어지기도 하며, 축문에는 영탑지신(靈搭之神)으로 표현되고 있다. 탑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기단부, 탑 본체, 탑 윗돌, 내장물 등 네 요소로 구성되며, 돌탑의 형태는 돌을 수북하게 쌓은 누석형, 위아래를 둥글게 쌓은 원통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