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풍문화재단지
- 법주사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사인암
- 문의문화재단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사과과수원
- 화양구곡
- 국립청주박물관
- 각연사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상당산성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선돌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한독의약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95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시동리는 감나무골로 불리우며 동쪽에는 낮은 산이 있으며, 대부분 구릉지이다. 남쪽으로 무심천(無心川)이 흐른다. 자연마을로는 큰감골, 작은감골 등이 있다. 큰감골은 마을이 커서 이름 붙여졌으며, 작은감골은 마을이 작아 붙여진 이름이다. 에로 부터 초계변씨들이 대성을 이루고 ..
미원면 가양리에 있는 아주신씨의 효자각이다.지금은 폐교된 초등학교 옆에 자리하고 있다.미원면 가양리와 미원의 문방리 쪽으로는 아주신씨가 대성인 듯 하다.곳곳에 아주신씨 문중의 재실과 더불어 유허비와 효자비등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아주신씨 삼효각은 아주신씨(鵝洲申氏) 3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1655년(효종 6) 효자 신협(申鋏)의 효자각이 세워지고, 1683년(숙종 9) 효자 신지익(申之益)과 그의 아들 효자 신심 의 효자각이 세워졌다. 1703년(숙종 29) 3인의 효자각을 합설하였으며,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1752년(영조 28)에 중건하고 1972년에 보수한 것이다. 정면 2칸, 측면 1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으로 사면을 홍살로 막고 안에는 3인의 정문 편액을 걸었다. 또한 1..
부처님 오신날이다.가까이 있으면서도 찾지 못했던 가덕면 상야리의 황금미륵사를 찾았다.길가로 걸린 연등들이 때 마침 부는 바람에 몸을 움직인다. 황금 미륵사를 찾아 들어가는 길목에는 무슨공사를 하는지 어수선 하다. 찾은 시각이 아직 법회를 시작하기 전인지 절을 찾은 신도들과 함께 대웅전 마당이 붐빈다. 가덕면 상야리(上野里)의 미륵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불이다. 오랫동안 노천에 방치되어 있다가 1960년 법당을 짓고 절을 다시 일으켰다.대웅전 안의 목제 현판에 적힌 사적문을 통해 고려 광종 때 미륵석불을 조성하였다는 구전이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을 뿐 자세한 유래와 연혁은 알 수 없다.불상의 하체 부분이 법당 마루 밑에 들어가 있어 전체 모습을 볼 수 없다. 재질이 좋지 않은 화강암으로 조성되어 전신..
안소당송선생유허비(安素堂宋先生遺墟碑)는 가덕면 병암리에 위치하고있다. 유허비(遺墟碑)라 함은 선현의 자취가 있는 곳을 길이 후세에 알리거나, 이를 계기로 그를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비를 말한다. 비의 상태로 보아 비대석은 후대에 후보된 것으로 보인다. 비의 건립시기는 숭정후4계해년(崇禎後四癸亥年)이면 1863(철종14)년이다. 유허란 유지(遺址)·유적(遺蹟)·구기(舊基)와 같이 ‘남긴 터(자취)’·‘옛터’의 뜻으로, 여기에서는 선현들이 태어났거나 살았거나 임시 머물렀던 곳, 또는 순절(殉節)하거나 귀양살이하였던 곳을 가리킨다. 고려시대까지는 유허비라는 명칭의 비는 보이지 않으나, 조선시대에는 유허비를 비롯하여 유지비(遺址碑)·구기비(舊基碑)라는 명칭의 비가 적지 않게 조성된다. 경기도 개성에 ‘高麗忠臣鄭..
가덕이란 지명은 조선시대. 인조(1638)가 보은을 가기 위해 이 곳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비록 좋은 이불과 베개는 아니었으나 잠자리가 매우 편했다. 따라서 인조는 노정에 따른 피로를 완전히 잊을 수 있었다. 이른 아침, 인조가 산세를 자세히 살펴보고는, "이 곳의 산세가 매우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