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보성오씨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선돌
- 사인암
- 단지주혈
- 효자문
- 한독의약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법주사
- 각연사
- 오블완
- 충주박물관
- 부도
- 화양구곡
- 문경새재
- 밀양박씨
- 효자각
- 공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95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FjER/btqJVOWkkXn/yGhdelLkRPekmVN10apTa1/img.jpg)
가덕면 행정리에 있는 전 주사를 지낸 고령인 신석휴의 시혜불망비입니다. 복지회관앞에 자리한 비석중 좌측에 자리한 비석입니다, 기미년에 주민들의 어려움을 알고 세금감면등 많은 혜택을 베푼 신석휴의 불망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전주사신석휴시혜불망비(前主事申錫休施惠不忘碑)라고 적혀있습니다.비석의 건립시기는 기미년(己未年)입니다. 오래전 망실된 비석을 다시 세운 듯 합니다.주사는 일반직 6급 공무원입니다.비석등의 상태로 보아 1979년이 비석의 건립시기인 듯 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GvAV/btqJXUOQoiU/uZzVc8z1tOVwfjRxy9I6HK/img.jpg)
코스모스가 참 이쁩니다.가덕면 삼항리 마을회관에서 행정리쪽으로 조금 가다보면 오른쪽으로 자리하고 있는 삼항리 입석과 함께 문의현령을 지낸 조면하와 정재기의 공덕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가덕면 삼항리에 있는 조선조 문의현령(文義縣令)을 지낸 조면하의 불망비이다. 삼항리와 행정리 사이 고개길에 정재기불망비와 함께 나란히 있다. 비석의 전면에는 현령조후면하영세불망비(縣令趙侯冕夏永世不忘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비석의 뒷면에는 비의 건립시기인 무인년이 적혀있다 . 조면하(趙冕夏)는 승정원일기를 참고하면 고종9년 8월26일 무인년(1872년) 문의현령으로 임명됨을 알수있다. .... 以金世均爲工曹判書, 趙冕夏爲文義縣令。............... 가덕면 삼항리에 자리하고 있는 문의현령을 지낸 정재기의 불망비이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1MPQ/btqJV7aiL4A/Dg47ic8CXNqyO4ywb5Al4K/img.jpg)
가덕면 행정리 장수마을 복지회관 마당에 있는 디젤식발동기입니다. 무슨 연유로 이 곳에 있는지는 잘 알수 없습니다.1982년 대구소재 조양철공소에서 만든 50마력짜리 디젤식 발동기입니다. 아마 정미소등에서 사용하던 것을 이 곳에 전시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e6P5/btqGet1VT4c/kLzOjWSARu4f2Xs0UGKmNK/img.jpg)
조공중태충효양전비(趙公重泰忠孝兩全碑)라고 음각되어 있으며 비석의 건립은 숭정후4병인년 12월(1886년)로 되어있습니다 조중태는 양주인으로 무신란(李麟佐의 亂)때 창의사 박민웅과 뜻을 같이하여 청주에서 난을 진압하는데 많은 공을 세웠다. 이 비석은 나라에는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였다는 의미의 충효양전비입니다.명암타워 산책길 한켠 소나무 밑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양주인 판관 조중태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면 조선왕조실록 영조5년4월에 무신란을 평정하고 무신란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관직이나 쌀 또는 옷감등을 하사하는 대목이 나옵니다. 영조실록 22권, 영조 5년 4월 6일 경진 1번째기사 1729년 청 옹정(雍正) 7년 대신과 비당을 인견하고 《서정록》을 올리라고 명하다. 이태좌가 군공의 별단을 올리다 출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0UEvp/btqF9HAY1Tp/7XQs1Vk5mQWrFkj40DiXiK/img.jpg)
명암지는 우암산(牛岩山)[338m] 동쪽 기슭에 있으며, 청주 상당산성 쪽에서 명암약수터가 있는 골짜기를 따라 내려오는 물을 모아 저수지로 만들었다. 명암방죽은 용담동에 있는 큰 방죽이며, 일명 명암저수지(明岩貯水池)라고도 한다. 명암방죽은 일제강점기 때인 1918년 착공하여 1921년 준공한 저수지로서 지금은 청주시민들의 휴게장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주위에 많은 음식점과 웨딩홀 컨벤션센타등이 자리하고 있으며 오리배등을 탈수있어 많은시민들이 애용하고 있습니다. 명암저수지 산책로 한켠에 자리하고 있는 명암지와 관련된 비석입니다. 명암수도(明岩隧道)라고 적혀있으며 건립시기는 昭和2年十月에 준공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명암수도(明岩隧道)의 隧道의 뜻은 터널 즉 지면 아래로 통하는 터널길(상봉,중봉에서 내려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Xref/btqGdsPXff3/ZFCHxhqlIO7GgM0AnI7iQ0/img.jpg)
동부우회도로를 달리다 보면 요즈음 한창 입주가 시작된 동남지구 아파트 단지가 있습니다 보살사라는 입간판을 보고 달리다 보면 낙가산 밑에 보살사에 이르게 됩니다 보살사가 위치한 낙가산은 관음보살이 머문 인도 남쪽 보타낙가산(普陀洛迦山)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지금은 한창 입주를 하는 아파트단지와 새로 짓는 아파트 등으로 조금은 어수선 하지만 옛길인 용박골길을 따라 들어서면 언제 그랬냐는 듯 고즈넉한 분위기를 느낄수 있습니다 보살사 밑으로도 이제는 많이 개발이 되었습니다. 전원주택 단지등으로 개발이 되어 여름이면 맛난 포도맛으로 유명한 보살사 포도밭들도 많이 없어지고 몇몇 포도밭이 남아 당도 높기로 유명했던 용암포도밭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보살사는 신라진흥왕28년(567년) 법주사를 창건한 의신조사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