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각연사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각
- 단지주혈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문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화양구곡
- 경주김씨
- 공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문경새재
- 밀양박씨
- 법주사
- 부여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95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16QIJ/btqF1SoPguF/BwDzK7QbiKDHYIWkbTiI1k/img.jpg)
이익저에 대하여는 여러번 다녀와 소개한 글로 대신합니다.이익저에 관하여 자세한 내용은 다른글로 참조하시고 이익저가 벼슬길에서 물러난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이익저에 관하여 자료를 찾던중 아래와 같은 신문의 내용을 읽을수 있었습니다.참고하시고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www.mk.co.kr/opinion/contributors/view/2014/11/1462838/ [역사의 향기] 관찰사의 인사 영조 대 소론의 영수로 영의정까지 역임했던 이광좌는 약관의 나이인 스무 살에 별시문과에서 장원급제했다. 조선시대에는 과거 공부를 시작해 문과에 합격하는 평균 기간이 보통 20년 정도 걸 www.mk.co.kr 마을분들은 원래의 영세불망비는 길 건너에 서있던걸로 기억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영세불망비에 대하여 잘 모르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NxgX/btqF3aWzD6C/6BHmlV1eSzPM9sFjL9LkOK/img.jpg)
한계리에 맛난 염소탕집이 있다고 하여 지인분과 함께 점심먹으러 왔다가 잠시 들렸습니다. 한계리 노계 마을의 절터에 있는 석불로서 현재는 마을 앞 정자나무 옆에 놓여 있는데 오랫동안 노천에 방치되어 마멸이 심하고 형체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불상은 판석형 화강암의 주형광배(舟形光背)와 대좌(臺座)를 함께 조각하였는데 부조(浮彫)가 높지 않아 평면불처럼 보입니다. 성한곳 없이 온몸 민초들의 바램으로 상처가 나고 얼굴의 윤곽도 알수가 없습니다 많은 비지정문화재들이 지금도 많이 파손되어 우리들의 곁에서 스러지고 있습니다 한계리 비로불은 많이 가본곳이지만 갈때마다 느끼는 아쉬움이 참 큰곳이지요 그래도 지금은 이름표 하나 얻어 그나마 위안이 되고 있습니다 노계마울 입구에 조선조 청주목사 이익저불망비와 함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gpC4/btqFOh8wvyq/Fd44jFtoMpXJsErH9Ma2Ek/img.jpg)
가덕면 삼항리에 자리하고 있는 유흥룡의 유허비입니다.유허(遺墟)란 유지(遺址)·유적(遺蹟)·구기(舊基)와 같이 ‘남긴 터(자취)’·‘옛터’의 뜻으로, 여기에서는 선현들이 태어났거나 살았거나 임시 머물렀던 곳, 또는 순절(殉節)하거나 귀양살이하였던 곳을 가리킵니다.유흥룡[ 柳興龍 ]은 조선전기의 학자입니다.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치운(致雲)이며, 호는 숙옹(塾翁)이다. 아버지는 유지정(柳之程)이며, 어머니는 연일정씨(延日鄭氏)로 선략장군(宣略將軍) 이로(利老)의 딸이다. 평생을 고향인 문산(文山)[현 충청북도 문의(文義)]에서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과 같은 난국에 처하였을 때, 국가를 보위하려 하였으나 제대로 뜻을 펴지 못하였다.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2krC1/btqE7oOealD/Imk3HMVmw7G0NVaKeudVe0/img.jpg)
문동리는 본래 청주군 남이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선죽리 동암 중리가 병합하여 문동리라 하였으며 부첫대, 용수말, 안말, 양지말 1구로 동암, 검배 를 2구로 분구되었다. 자연마을로는 동암 : 문동리의 으뜸이 되는 마을로 동쪽에 큰바위가 있으며 동암이라 부르기 이전에 리천 서씨가 많이 살아 서점이라 하였으며 넘은골, 가운데뜸, 건넌말로 이루어져 있다. 검배(玄岩) : 문동2리 맨 끝부분에 있고 동화사 서쪽에 있는 마을로 검은바위가 많아 검배라 하였으며, 1984년 용정-화당간 도로 신설로 10여호중 8호의 주택이 없어지고 지금은 2호 만이 남아 있다. 부첫대 : 척산3리와 접해 있으며 양지말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이곳에 부처가 있었다 한다. 안말(扇竹) : 동암 남서쪽에 있는 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dj0P/btqE5efbwWq/oo3bhBXbWgGEJX2mGTWT80/img.jpg)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척산화당로(문동리) 동화사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불상. 높이 1.48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8호. 이 불상은 원래 임진왜란 당시 소실되었던 동화사 서편의 산 능선에 손상된 채로 있던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300여 년 전에 현재의 절을 중수하면서 옮겨 봉안하였다고 한다. 동화사란 사명(寺名)은 근래에 와서 붙인 것으로 불상의 원위치로 추정되는 지점에는 고려 초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와편(瓦片)과 석탑 부재가 흩어져 있다. 비로자나불은 현재 법당 내에 봉안되어 있다. 화려한 8각 연화대좌(蓮華臺座) 위에 앉아 있는 좌상의 형태를 하고 있다. 두부(頭部)는 일부 파손되었고 후대의 보수가 더해진 까닭으로 원래의 모습과는 다소 거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개를 약간 옆..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n1fN/btqEZ9Q8VaK/EZR4kAr8TeqLH78p0xeobk/img.jpg)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외북동에 있는 김상남과 그의 며느리 김해김씨의 정려각.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반란군의 진영에 뛰어들어 반란군의 불충을 꾸짖다 희생된 김상남의 충절을 기리고, 세 차례나 손가락을 자른 피로 남편을 살린 김상남의 며느리이자 김여산(金如山)의 부인인 김해김씨의 지극한 효성을 기리기 위하여 1883년에 세운 정려문이다. 흥덕구 외북동 북리마을 중앙에 보호수로 지정된 큰 느티나무가 있는데 그 옆에 있었다가 청주산업단지 조성으로 이곳 가덕면 청용리로 2019년에 이건하였다. 건물은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구성된 이익공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북쪽을 향하고 있다. 넓은 사각대석 위에 약 1m 가량의 팔각 고주를 놓고 그 위에는 둥근 기둥을 세워 모로단청을 하였다. 사면을 홍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