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오블완
- 충주박물관
- 화양구곡
- 법주사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부도
- 밀양박씨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화양동 암각자
- 문의문화재단지
- 각연사
- 곡산연씨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상당산성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청원구(淸原區) (21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영하리사지에 있는 석탑으로 이 절터에 현존하는 유일한 석조물이다. 화강암으로 조성된 이 석탑은 한 민가의 앞마당 소나무 밑에 있는데 1,2,4,5층의 옥개석 4매가 차례로 얹혀 있으며 바로 그 앞에 3층의 옥개석 및 석재 2개가 얹혀져 있다. 현재 5개의 옥개석만 있고 각층의 옥신석은 모두 결실되어 원형을 알수 없다. 남아 있는 옥개석들도 심하게 파손된 상태이다. 현존 상태로 보아 5층석탑으로 추정되나 다른 곳에 매몰된 석재들이 또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 옥개석의 형태는 상하면이 층단으로 처리된 모전석탑(模塼石塔)의 유형으로 5층옥개석을 제외하고는 상하 모두 3단의 층급이 있고 5층만은 상하 2단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층단은 각형(角形)으로 치석(治石)되었을뿐 다른 문양의 조식은 없다. 현재 쌓여..
내수읍 국동리 마을초입에 자리한 김홍원의 처 전주최씨의 절효비이다 절효(節孝)란- ①절조를 지키고 효심이 있음 ②젊어서 남편과 사별한 부인이 재가 하지 아니하고 시부모를 잘 모심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주성동에 있는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과 부속 강당. [개설] 목은영당(牧隱影堂)은 이색의 학덕과 청주에서의 유서를 기리기 위하여 후손인 한산이씨 이붕해(李鵬海)와 그의 종형 이조해(李朝海)가 주도하여 1714년(숙종 40)에 청..
이 충신각은 1960년에 안동인(安東人) 김극(1613∼1637)의 충절을 기리어 세운 정려이다. 지금의 충신각은 1976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1간, 측면 1간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정려의 사면은 홍살로 막고 안에는 충신문 편액과 기문판(記文板)을 걸었고, 밖에는 "충신려(忠臣閭)"..
이 충신각은 조선 광무 7년(1903)에 귀성도호부사(龜城都護府使)로 재임하던 중에 강홍립(姜弘立)의 반란군과 싸우다가 순절하여 병조판서에 증직된 천안인(天安人) 전상의(全尙毅, 1575∼1627)의 충절을 기리어 세운 정려이다. 지금의 충신각은 1988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1간, 측면 1간 겹..